
총 3개
-
2020 식물보호기사 필답 요약 및 정리2024.10.021. 식물병리학 1.1. 식물병의 병징 및 표징 식물병의 병징은 감염 후 식물체의 외형 또는 생육 이상 등으로 나타나는 반응으로서 상대적인 개념이다. 식물병의 병징에는 외부병징과 내부병징이 있다. 외부병징에는 모자이크, 줄무늬, 꽃의 얼룩 등 색소체 이상, 위축, 괴저, 기형, 잎말림, 암종 등이 포함된다. 내부병징으로는 엽록체 수 및 크기 감소, 봉입체 형성(결정성 봉입체 & X체 또는 X-body라 불리는 비결정성 봉입체) 등이 있다. 또한 병징은폐 현상이 있어 한계온도 이상 또는 이하에서 바이러스를 지녔어도 병징이 나타나지 ...2024.10.02
-
나무의 주요 병2024.09.051. 식물병의 전염원과 전반방법 1.1. 식물병 전염원의 종류 1.1.1.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는 주요한 식물병 전염원이다. 식물의 병든 조직이 죽어도 그 죽은 조직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병원체는 살아남곤 한다. 따라서 병든 이파리, 나뭇가지, 열매 등의 잔재를 꼼꼼히 제거하는 것이 병의 예방이 된다. 예를 들어 벼깨씨무늬병균, 벼도열병균은 병든 볍씨나 볏짚에서 여러 해를 생존할 수 있고, 사과탄저병균, 감귤궤양병균, 배나무검은무늬병균은 병든 열매나 가지에서 겨울을 버티기도 한다. 오이노균병균, 맥...2024.09.05
-
식물의 저항성 개발2025.04.061. 식물병 저항성과 식물체의 방어기작 1.1. 서론 식물병은 식물 생산성과 수확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식물은 생명체로서 다양한 환경적인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병원체에 의한 감염은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이 보고서는 식물병 저항성과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이해하여 식물체-병원체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식물병 관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식물병 관리는 식물 생산성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식물이 병원체에 저항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