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곡물창고 파괴와 식물의 다양성2024.09.101. 서론 최근 농심(農心)은 불편하다. 쌀값이 상당히 하락하였으며 농사를 지을 인력을 구하기도 어려워졌다. 심지어 정부가 무, 대파 등의 무관세 수입을 허용하면서 어떤 작물을 파종할지도 상당히 고민되는 상황이다. 더불어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식량안보의 근간인 쌀 생산비는 급등하였으나 가격은 하락하면서 농가 순수익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쌀 재배면적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법무부가 농촌지역 외국인근로자 불법 체류...2024.09.10
-
현대음식연구2024.10.131. 서론 산쯔얼(쥐 요리), 박쥐탕, 원숭이 골 요리, 곰 발바닥 요리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중국에서 야생동물을 먹는다는 '츠예웨이(吃野味)'라는 말에는 신분 과시용의 우쭐함이 배어 있다. 옛날에는 먹을 것이 없어 야생동물을 잡았지만, 시대가 흐르며 돈 있는 자가 보신을 위해, 또는 새로운 음식을 탐하는 식도락 차원에서 '예웨이(野味)'를 찾아 앞서 말한 요리 외에도 신기한 음식들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현지 시간 기준 3월 18일, 존 코닌 텍사스 상원의원은 '박쥐 수프'를 먹는 동영상 속 중국 여성을 언급하며 "(코로나...2024.10.13
-
유엔 세계식량계획 (WFP) 영양 프로그램2024.10.141. 개발도상국의 식량 위기와 식량안보 1.1. 개발도상국의 식량 위기 현황 전 세계 70억명 중 약 10억 명 가량이 기아 상태에 처해있으며, 이는 대부분 가난한 국가에 해당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적으로 2014-16년 기간에 세계 약 7억 9,500만 명(9명 중 1명을 넘는 수준)이 영양부족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래의 세계 식량사정을 더욱 어둡게 하는 측면은 기아인구의 절대다수가 개발도상국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2014-16년 기간 개발도상국 지역에서는 약 7억 8,000...2024.10.14
-
아동 영양실조 사례를 알려줘2024.09.081. 세계 식량위기 1.1. 식량위기의 실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에 따르면, 2005년 10세 미만 아동이 5초에 1명씩 기아로 사망하고, 3분에 1명씩 비타민 A 부족으로 시력을 상실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세계 인구의 7분의 1 수준인 8억 5천만 명이 심각한 만성 영양실조를 경험하고 있고, 이러한 식량위기 문제는 2000년 이후로 급격하게 심화되고 있다. 1984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조사에 따르면, 인구와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을 고려할 때 약 120억 인구가 충분히 소비할 수 있는 식량이 생산되었다. ...2024.09.08
-
유전자 변형 실험 보고서2024.09.081. 서론 식량은 인류 생존의 가장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안정적인 식량의 공급을 위한 작물의 품종개량 등 육종 기술을 포함한 새로운 농업기술의 개발은 생산량에 있어 획기적 전환점이 되는 녹색혁명을 가져왔다. 하지만 인류는 지속적인 인구증가, 지구환경변화, 농업환경 악화 등으로 인한 전통적인 육종 기술의 한계성을 인식하게 되고, 20세기 발달한 생명공학 기술에 기반을 둔 "유전자변형 작물"의 제조가 미래 식량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최초의 유전자변형작물은 아그로박테륨을 이용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2024.09.08
-
농기계 임대사업제안서2024.09.081. 농축산분야의 기술 혁신 1.1. 제4차 산업혁명과 농축산분야 제4차 산업혁명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3D 프린팅, 생명공학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실세계 모든 사물의 지능화(intelligent)와 초연결(hyper-connection)을 지향하는 산업혁명이다.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진보는 농축산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축산 분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생산 ...2024.09.08
-
지속 가능한 농업기술2025.03.271. 지속가능한 농업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1.1. 농업의 환경적 부담 증가와 식량안보 위협 고투입(에너지 다투입)·고산출(다수확)의 농법 확산과 식생활의 다양화·고급화 등에 따른 환경부하 증대로 지속가능한 농업 및 농업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다. 그동안 증가하는 인구부양을 위한 식량증산과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화학비료 및 농약 등을 지속적으로 과다 투입해 온 결과 토양과 수질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축산부문에 있어서는 경종부문과 유리되어 전문화·규모화의 가속화로 대규모 가축밀집 사육에 따른 대량의 가축분뇨 발생 및 일부 축...2025.03.27
-
지속 가능한 농업기술 문제점 해결 방안2025.03.271. 지속 가능한 농업기술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1.1. 서론 농업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산업이다. 최근에는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도시농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시농업은 도시 내에서 농업 생산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농업은 도시 내 식량 생산량을 높이고 식량안보를 확보하며, 신선하고 안전한 식품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도시농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시 내 공간의 한정성, 토양오염, 수질오염, 인력 부족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도...2025.03.27
-
새만금2025.02.181. 서론 1.1. 새만금 개발사업의 개요 새만금 개발사업은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군산시 비응도동부터 고군산군도의 신시도를 거쳐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까지 총 33.9km에 이르는 새만금 방조제를 건설하여 서해안의 갯벌과 바다를 육지로 바꾸는 간척 사업이다. 1991년 11월 16일에 기공하여 2006년 4월 21일에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었고, 보강 및 성토작업 등을 거쳐 2010년 4월 27일 준공되었다. 2007년 11월 22일에는 이 사업의 개발과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국회에서 '새만금 사업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었다. ...2025.02.18
-
위험사회와미래직업2025.03.021. 서론 1.1. 위험사회와 미래직업 21세기는 위험사회이다. 만성적인 저성장의 시대로 기업이나 개인이나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 분야는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으며, 새로운 사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4차 산업 분야는 대부분 고도의 기술 의존성을 보이고 있어서 이 산업이 발달한다고 해서 이것이 인간에게 양질의 일자리, 많은 일자리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에 온라인쇼핑이나 배달 어플 같은 것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업...20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