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윤동2025.04.111. 서론 1.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시대적 절망과 고뇌보다 자아 성찰과 현실 극복의지를 주제로 반영한 작품을 더 많이 쓴 시인들이 있다. 그 대표적인 시인이 윤동주이다. 그는 1930년대에 가장 활발한 시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45년 해방을 전후로 하여 우리 문학사에서 사라졌다. 고로 이 시인의 시적 상상력은 민족사에서 가장 불행했던 시기에 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대적 배경에서 완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식민지 치하의 가난과 슬픔을 부끄러움의 미학으로 극복하여 식민지 후기의 무질서한 정서에 하나의 질서를 부...2025.04.11
-
박상순2025.06.031. 서론 1.1. 박상순의 문학적 특성 박상순은 자신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가지고 있는 작가이다. 그의 시는 현실이 아닌 언어와 기호를 다룬다. 그는 현실을 직접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재현한 2차 현실, 즉 기호의 세계를 노래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대상은 영화, 만화, 포르노, 회화, 상품 기호 등 다양한 기호들이다. 또한 박상순의 시에는 형식적 측면에서도 특징이 있다. 그는 만화, 그림, 기호를 사용하여 문자와 이미지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를 한다. 예를 들어 그의 시 '양 세 마리'에서는 풀밭과 티셔츠가 혼재되어 ...2025.06.03
-
정지용 시 세계 모더니즘 카톨릭 산수2025.05.271. 서론 1.1. 정지용 시 세계의 이해 정지용은 현대 시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인이다. 그는 고전을 습득하고 새로운 문예이론을 수용하면서 한국적 전통성과 서구적 현대성을 연결시켰다. 정지용은 20대 초반부터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1930년대 초반 시 문학파에 가담하였다. 그의 시 세계는 시기에 따라 변모해 나갔는데, 모더니즘적인 작품뿐만 아니라 동시, 민요 시, 종교 시, 동양적 자연 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보여주었다. 정지용의 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기별 변모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지용의 시 세계는...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