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슬픔은 물로 된 불인 것 같다 분석2024.10.121. 시에 대한 소고 1.1. 시의 본질 시는 많은 것을 압축하고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문학 장르이다. 시에는 시인의 깊은 감정과 주변 경험이 담겨있으며, 이를 짧은 문장으로 표현하는 것이 시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김남조 시인은 "시라는 것은 미묘해서 작가 자신도 이것을 풀이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도 존재한다."라고 말했듯이, 시에는 시인 자신도 온전히 해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렇듯 시는 단순히 문장을 읽는 것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으며, 시인의 내면과 감정에 공감해야 그 의미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시를 읽을 때...2024.10.12
-
장안의 봄을 읽고2024.11.151. 맹호연의 「춘효(春曉)」 1.1. 작가 소개 맹호연(孟浩然, 689년 ~ 740년)은 중국 당나라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이름은 호이며, 자는 호연이고 호(號)는 녹문거사(鹿門處士)였다. 양양(襄陽) 출신으로 절개와 의리를 존중하였다. 한때 녹문산(鹿門山)에 숨어 살면서 시 짓는 일을 매우 즐겼다. 40세 때 장안(지금의 시안)에 나가 시로써 이름을 날리고, 왕유·장구령 등과 사귀었다. 맹호연은 왕유의 시풍과 비슷하며, 도연명의 영향을 받아 5언시에 뛰어났다. 『맹호연집』 4권이 전해지고 있으며, 격조 높은 시로 산수의 아름다...2024.11.15
-
송강 가사와 연군지정 분석: 사미인곡, 속미인곡2024.11.121.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 비교 분석 1.1. 서론 송강 정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 유학자이며 사대부였다. 그는 격동의 정치 상황 속에서 많은 부침을 겪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그에게 좌절과 갈등만을 안겨준 것이 아니라 문학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송강은 격동의 정치 상황을 문학 작품으로 형상화하였고, 박인로, 윤선도와 더불어 조선조 3대 시인으로 불릴 만큼 문학적으로 우수한 작품을 다수 남겼다. 특히, 송강은 50세가 되던 1585년에 벼슬에서 물러나 창평으로 낙향하였는데, 이 시기는 동인 세력...2024.11.12
-
단테의 신곡2024.11.131. 단테의 신곡 1.1. 단테 알리기에리의 생애 단태 알리기에리는 1265년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귀족 출신이었으나 가세가 기울어 대부업으로 겨우 먹고살 정도였다. 단테의 어머니가 7살 때 돌아가셨고, 15살 때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나면서 집안의 가장 역할을 도맡게 되었다. 당시 피렌체에서 유명한 학자였던 브루네토 라티니 경에게서 그리스-로마 시대의 고전 문법 등을 배웠으며, 20세 때부터 볼로냐 대학에서 철학, 의학, 신학 등을 공부하였다. 단태의 생애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한 명의 여인이 있는...2024.11.13
-
시 해석2024.11.021. 조지훈 시인의 생애와 시세계 1.1. 조지훈의 생애 조지훈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시인이자 국문학자였던 조지훈(1920~1968)의 본명은 조동탁(趙東卓)이며,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태어났다. 엄격한 가풍 속에서 한학을 배우고 독학으로 중학과정을 마쳤으며, 혜화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39년 「송백」에 추천되면서 등단하였다. 같은 해 「월중」을 발표하며 20세에 주목을 받았고 안동 출신의 김난희와 혼인하였다. 이후, 고전적 풍물을 소재로 하여 우아하고 섬세하게 민족정서를 노래한 시풍으로 기대를 모았다. 19...2024.11.02
-
닥터지바고2024.11.031. 작가 보리스 파스쩨르나크 1.1. 생애 및 문학 활동 보리스 파스쩨르나크는 1890년 2월 10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예술학교 교수이자 화가인 아버지 레오니드 파스쩨르나크와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 로자 카우프만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풍부한 예술적 배경 속에서 자랐다. 톨스토이, 라흐마니노프, 마리아 릴케 등 유명 예술가들과 가깝게 지내며 교양을 쌓았으며, 알렉산더 스크랴빈의 영향으로 음악 이론도 공부하였다. 1910년에는 철학과 문학 공부를 위해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 들어가 신칸트주의 철학자들의 지도 아래 공부하였다. 1...2024.11.03
-
오장환 시인2025.01.081. 작가 오장환 연구 1.1. 생애 및 문학 활동 1.1.1. 등단과 초기 시세계 오장환의 등단과 초기 시세계는 다음과 같다. 오장환은 1918년 충북 보은에서 해주 오씨 집안의 네 남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가정 형편이 빈곤했던 그는 1930년 안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중동학교 속성과를 수료한 뒤 193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지만, 학비 조달의 어려움으로 휴학과 복학을 반복하다 1935년 동경 유학의 사유로 자퇴하게 된다. 오장환이 문단에 등단한 것은 1933년 11월 「조선문학」지에 「목욕간」을 발표...2025.01.08
-
문학의 세부 갈래 분석 및 작품 견해 정리2025.02.181. 서론 1.1. 문학의 세부 갈래 개관 문학의 세부 갈래 개관은 다음과 같다. 문학은 일반적으로 '서정적 갈래, 서사적 갈래, 희곡적 갈래, 교술 갈래'로 나뉜다. 한국 현대시의 경우 일제강점기에 갖은 어려움을 딛고 한국 문단을 이끈 한용운, 이육사, 김소월 시인의 대표작들을 비롯해 한국전쟁 이후 1950~60년대 김수영, 김춘수, 서정주 시인, 1970년대 산업화 시기의 김지하, 신경림, 신동엽 시인, 그리고 1980년대 이후 민주화 시기 김남주, 박노해, 황지우 등 총 12명의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 문학은 언어로 이...2025.02.18
-
미국의 송어낚시2024.12.221. Trout Fishing in America 1.1. 작가 생애 Richard Brautigan(1935-1984)은 1935년 1월 30일에 미국 Washington주의 Tacoma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관한 일화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Brautigan도 자신의 어린 시절에 관하여 얘기하기를 꺼려해 왔다. 이처럼 그나마 알려진 정보에 의하면 그는 자신의 아버지를 전혀 모르고 성장했으며 자신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해서도 그의 가족이 전혀 모르고 있을 정도로 자신의 개인적인 인생은 평범하지 않은 불행한 삶이었다고...2024.12.22
-
The wanderer2024.08.301. 자연과 인간의 관계 1.1. 자연의 경건함과 신성성 자연의 경건함과 신성성은 수많은 시인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어 왔다. 그들은 자연이 지닌 거대한 힘과 아름다움 속에서 신의 존재를 발견하고, 자연과 인간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었다. 워즈워스의 시 "It is a beauteous evening"에서는 조용하고 자유로운 밤의 분위기가 마치 예배당에서 예배를 드리는 듯한 경건한 느낌을 준다. 시인은 큰 태양이 고요히 가라앉고 하늘의 관대함이 바다를 덮는 모습에서 신의 존재를 느낄 수 있었다. "mighty Being...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