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구강해부학2024.10.021. 구강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가상의 절단면이다. 관상면(전두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수평면)의 4종류가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수평적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의 구조와 장기를 관찰하고...2024.10.02
-
해부생리용어2024.11.131. 해부학과 생리학 용어 1.1. 몸의 면 1.1.1. 정중면 정중면은 인체를 완벽하게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가상의 면이다. 정중면은 신체의 정중앙을 지나며, 인체를 정확하게 오른쪽과 왼쪽 반으로 나누는 기준이 된다. 이 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며, 신체의 왼쪽과 오른쪽은 거의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정중면은 중요한 임상적인 의미가 있는데, 뇌손상이나 신경학적 손상 시 증상의 좌우 비대칭성을 확인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수술 시 절개 방향을 결정하거나 장기나 혈관의 주행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