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요고와 장고의 역사에2024.10.11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와 유래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요고는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의 사용은 늦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삼국시대에는 요고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기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2.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2024.10.11
-
신주선율문화의 특징을 가진 한국문화2024.10.201. 한국복식의 정의와 특징, 구성 원리 1.1. 한국복식의 정의 복식은 우리 몸에 의류나 장식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복은 의복을 의미하고, 식은 모자, 신발 등 여러 가지 장식을 의미한다. 복식은 단순히 옷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복을 착용하는 민족들의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등에 따라 반영이 되어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반영하기도 한다. 한 민족의 복식은 의, 식, 주 중의 하나로 민족의 생활방식과 자연환경에 의해 그 재료, 행태, 양식, 제작방법 등이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그 민족의 전통성이 담아있다. 전통복식...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