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bim2024.09.18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개요 1.1. BIM의 정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D 또는 2D 설계와 Process, Product, Interoperability의 개념을 포함하는 건축 정보 모델이다. BIM은 건설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NIBS(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에서는 "건축물의 물리적이고 기능적인 특성의 디지털 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즉...2024.09.18
-
bim정의,기술및 도입효과2024.10.22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소개 1.1. BIM의 정의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디지털 모델을 활용하여 정보를 관리하고 교환하며 공유하는 절차라고 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는 BIM을 건설 전 분야에 걸쳐 시설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특성을 반영하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 절차로 정의한다. GSA는 BIM을 건축물의 설계를 문서화하고, 새로운 자본이나 재투자 자본을 위한 시설물의 건설 및 운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모델의 개발과 활용으로 ...2024.10.22
-
bim기술및 도입효과2024.10.221. BIM의 개요 1.1. BIM의 정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디지털화된 건설 기술이다. 즉, BIM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D 모델링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BIM은 단순히 3D 모델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로 표현하고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참여자들이...2024.10.22
-
통신감리2024.10.251. 사업 계획 1.1. 사업의 개요 사업의 개요는 정보통신기술자, 감리원 등 자격증소유 회원들의 자원 활용, 케이티 퇴직자 일자리 제공을 통한 로얄티 확보를 통한 상생경영, 경영수익을 동우회 운영자금으로 활용하여 수입원 다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회원 일자리 창출 및 복지 증진, 케이티 그룹사와 퇴직사우 간 상생효과 도모, 케이티경력 및 노하우 활용으로 정보통신 및 시스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1.2. 관련 법령 관련 법령은 정보통신공사업법 및 시행령,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전자정부법 및...2024.10.25
-
외벽판넬벽체공사시방서2024.10.151. 가설공사 1.1. 가설공사 일반 가설공사 일반은 공사현장 내에서 시공되는 공통적인 가설공사에 대한 사항들을 규정한 것이다. 공사현장관리, 재료관리, 시공관리, 품질관리 및 검사, 안전·보건 및 환경관리, 공사기록 등 인도에 이르기까지 공사 전반에 걸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공사현장관리는 원칙적으로 시공자가 자주적으로 수행하며, 건설기술자를 배치하고 도면, 관계법령, 규격 등을 비치하도록 한다. 공사용 가설시설물의 설치계획서를 작성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용에 따른 비용은 시공자가 부담한다. 또한 공사...2024.10.15
-
성수대교 붕괴 쟁점2024.10.081. 건축공학의 개요 1.1. 건축공학의 개념 건축공학은 크게 건축구조, 건축 환경계획, 건축설비, 건축시공 등 4가지 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건축구조란 건축물의 뼈대인 골조, 기둥, 보, 바닥 등의 강도나 변형을 연구하고 구조 재료가 되는 철근이나 철근 콘크리트의 재질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건축 환경계획은 건물 환경, 특히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음향, 채광, 조명, 일조, 온습도 등을 연구하여 이를 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건축설비는 급배수, 냉난방, 공기조화, 전기, 소화설비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2024.10.08
-
건축 상세표현2024.10.091. BIM의 LOD(Level of Development)에 대하여 1.1. 용어의 정의 1.1.1. BIM의 정의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1.1.2. LOD의 정의 LOD는 BIM 프로세스의 진행에 따른 작성되는...2024.10.09
-
국내외 공동주택 BIM 적용2024.11.021. 건설자동화와 BIM 1.1. 건설자동화 기술 1.1.1. 목적에 따른 분류 건설자동화는 컴퓨터 및 전산기술을 이용한 정보화, 통합관리시스템화 등 소프트웨어적인 기술과 시공의 생력화, 기계화를 위한 자동ㆍ반자동 형태의 로봇 개발 등 하드웨어적인 기술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적인 자동화 분야의 연구ㆍ개발이 활성화되면서 공사관리의 효율성 및 투명성이 제고되고, 기술 및 실적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지식의 교류, 공유,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고소작업 및 중량물 취급 등 열악한 작업환경과 인력의존도가 높은 건설공사의 근...2024.11.02
-
BIM 정보연계2024.11.24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개요 1.1. BIM의 정의와 특징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통찰력과 도구를 제공하는 지능형 3D 모델 기반 프로세스이다. 기존의 CAD 등을 이용한 평면도면 설계에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분야의 시설물의 생애주기의 설계,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2024.11.24
-
Bim 설계 적용과 관련하여 3가지 설계 단계에 대해 기술2024.08.221. 서론 1.1. BIM의 정의와 개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은 건축 및 건설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혁신적인 프로세스와 기술의 집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BIM은 건축물 및 인프라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론이다. 이것은 건축물 및 인프라 시설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3D 모델에 저장, 관리 및 공유함으로써 프로젝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BIM은 단순히 3D 모델링을 넘어서며, 건물의 기하...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