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스키 기술2024.09.211. 스키의 기초 기술 1.1. 걷기(Walking) 스키를 착용하고 가장 우선 실시해야 할 일은 걷기부터 시작하여 스키 감각을 익히는 것이다. 초보자는 일반적으로 스키를 착용하고 걸을 때 지상에서 걸어가듯 발을 들면서 걷게 되므로 중심이 흐트러지고 자세가 불안해진다. 따라서 설면에서는 스키를 들지 말고 내디딘 스키에 체중을 확실히 가하고 미끄러지듯이 앞으로 밀면서 걸어 나가야 한다. 걷는 방법은 한쪽 스키만 신고 걷는 방법과 양쪽 스키를 신고 걷는 방법이 있는데, 한쪽 스키만 신고 설면 위에서 기능을 숙달시킨 다음 양쪽 스키를 ...2024.09.21
-
스키장 안전사고 예방 및 대책 사례2024.09.271. 스키 안전과 장비 1.1. 스키장비의 종류와 명칭 스키장비는 플레이트(Plate), 폴(Pole), 부츠(Boots), 바인딩(Binding), 헬멧(Helmet)과 모자(Cap)로 구성된다. 플레이트는 스키를 타기 위한 판자로, 앞부분을 탑 밴드(Top Bend), 중간부분을 아치밴드(Arch Bend), 끝부분을 테일밴드(Tail Bend)라고 한다. 플레이트의 아치밴드에는 캠버(Camber)가 있어 탑 밴드와 테일밴드보다 높게 설계되어 있으며, 이 캠버는 리버스 캠버로 변환되어 조종을 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2024.09.27
-
동계스포츠 스키의 역사와 문화2024.10.311. 동계스포츠의 역사와 발전 1.1. 동계스포츠의 기원과 역사 동계스포츠의 기원과 역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에서는 이미 BC 3000년경부터 스키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러시아 동북부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는 눈이 많이 오는 기후 탓에 스키가 일찍부터 등장하고 발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르웨이와 핀란드에서도 고대 스키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당시 스키는 주로 겨울철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한국에서도 B.C. 3000년경에 눈 경사면을 내려가기 위해 고안된 발 썰매의 원형이 발견되었으며, 이 또한 겨울철 ...2024.10.31
-
쇼트트랙의 유래및 역사 경기규칙 국제대회 경기방식 경기장 규격2024.10.311. 동.하계스포츠 동계 스포츠란 겨울 시즌에 눈이나 얼음 위에서 행해지는 스포츠 종목을 의미한다. 아이스하키, 쇼트트랙, 스키, 스노보드, 피겨스케이팅 등이 대표적인 동계 스포츠 종목들이다. 동계 스포츠는 올림픽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국민들의 관심과 관람객이 크게 늘어나면서 그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 쇼트트랙은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동계 스포츠 종목 중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쇼트트랙은 전...2024.10.31
-
탁구 기본 기술 정리2024.10.191. 탁구의 역사 1.1. 최초 역사 『탁구』 그 역사나 기원이 정확하지 않은데, 중세 이탈리아의 '루식 필라리스'라는 놀이에서 변한 것이라 하기도 하고 15~16세기 경 프랑스 궁전에서 행해진 '라파움(Lapaum)'이란 놀이가 변하여 탁구가 되었다고도 한다. 그 명칭도 일정하지 않아서 고시마, 프림프림, 와프와프 등 여러 가지로 불리어졌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인도 등 영국 식민지에 살던 영국인들이 테니스에서 힌트를 얻어 더위를 피하여 실내에서 놀 수 있는 놀이로 변형시켰다는 것이 통설이다. 1.2. 한국의 역사 우리나라에 탁...2024.10.19
-
스키의 역사2024.10.201. 스키의 개요 1.1. 스키의 정의 스키는 합판, 얇은 판자, 글라스, 메탈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길고 평평하고 얇은 긴 활면을 가진 스키판 위에 부츠를 신고 눈 위를 활주하는 스포츠이다. 북유럽에서 발달한 노르딕스키와 알프스 산악지대에서 발달한 알파인스키로 크게 구분되며, 20세기 중반부터 기존 형식에 구애하지 않는 프리 스타일 스키가 등장하였다. 스키의 어원은 '눈 위에서 신는 신발'을 뜻하는 노르웨이어와 영어의 '스키드(skid)', '스킵(skip)', '스키프(skiff)', '슬라이드(slide)', '스케이트(sk...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