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허혈성뇌손상2025.02.251. 허혈성 뇌손상 1.1. 병인론 허혈성 뇌손상의 병인론은 다음과 같다. 심정지 후 순환이 회복된 사람의 55~71%는 병원 내에서 사망하며, 병원 내 사망의 주요 원인은 심정지 후 증후군이다. 심정지 후 증후군은 순환 정지에 의한 전신의 허혈, 심폐소생술 및 순환회복에 따른 재관류에 의하여 여러 장기에 발생하는 복합 현상이다. 심정지 후 증후군은 심정지 후 뇌손상, 심정지 후 심근 기능 부전, 전신의 허혈-재관류 손상 및 심정지를 유발한 원인의 지속에 의하여 나타나는 병리 현상이다. 심정지 후 증후군의 발생 양상은 심정지 ...2025.02.25
-
status epilepticus2025.04.091. 서론 1.1. status epilepticus의 정의 status epilepticus는 뇌전증 발작(epileptic seizure)이 일정기간 이상 지속되는 상태이다. 즉, 수분 이내에 저절로 중단하는 일반적인 단일 발작과는 달리 발작이 지속되거나 의식회복 없이 발작이 반복된다. status epilepticus는 단일 발작과는 달리 그 자체로 심각한 뇌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status epilepticus 환자의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도 사망률이 20%-30%에 이른다...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