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성선설 성악설 비교2024.09.051. 서론 인류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은 경쟁과 전쟁 그리고 분쟁으로 이루어졌다 하여도 큰 이상이 없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었으며, 아시아 중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념의 싸움과 달리 영토 위주로 일어난 중세의 전쟁은 일상이었다. 덕분에 백성들은 살아남지 못했고, 핍박과 착취를 받으며 지내야만 했다. 공자는 인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정치를 역설했다. 당연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명의 정치를 주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규범을 잃었고, 공자는 올바른 행위 규범을 확립했다. 그에 따라 보편적인 도덕•윤리...2024.09.05
-
공자가 죽어야 사회가 산다2025.01.011.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1.1.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책 소개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공자와 유교문화와 관련된 한국 사회에 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은 문화적 폐쇄성과 콤플렉스 및 유교의 기원과 왜곡 과정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1.2.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저자 소개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저자인 김경일 작가는 갑골문학자로 대학에서 한문학을 전공했고 타이완 유학과 갑골문 연구를 하면서 한국 최초의 갑골학 박사가 되었다. 그는 오랜 기간 갑골문 연구에 전념하며 한국의 갑...2025.01.01
-
동양 고전 이해와 독후감 작성2025.04.041. 동양 고전 이해와 독후감 작성 1.1. 순자와 그의 저서 『순자』 순자는 기원전 313년에 태어나 기원전 238년까지 살았던 전국시대의 사상가이다. 그는 제나라 출신으로 제자백가 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유가 사상을 집대성하였다. 순자의 저서 『순자』는 원래 322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후에 32편으로 정리되었다. 이 책에는 철학, 도덕, 교육,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순자의 사상이 담겨있다. 순자는 하늘을 인격적인 존재가 아닌 자연의 일부로 보았다. 그는 천재지변이 하늘의 의지에 의해 일어나는 벌이 아니...2025.04.04
-
성악설2024.09.261. 서론 성악설과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철학적 개념들이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성악설을,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쳤다. 이는 단순히 인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바라봄과 해결방안에서도 큰 차이를 드러낸다.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를 사단(四端)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인간이 타고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통해 드러나는 선한 마음이다. ...2024.09.26
-
맹자를 제외한 성선설 근거2024.10.021. 서론 좋은 보고서를 쓰기 위해 교수님이 싫어할 만한 글을 쓰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저자는 강의를 들으며 논박하고 싶었던 점과 다른 의견들을 기술하며 '순자'에 대해 풀어 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남이 싫어하는 글'이 어째서 훌륭한 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남이 싫어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요점 파악과 문제점 포착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책과 논문을 탐독하고 자신의 생각을 결합시켜 비판적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2024.10.02
-
성악설2024.11.241. 순자의 예와 성악설 1.1. 예란 무엇이고 왜 강조했을까? 우선 예란 고대 성왕(聖王)이 인위적으로 제정한 외면적 규범과 재화를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이며 본질은 예를 제작하는 객관적 원칙인 의에 있다"" 예(禮)는 처음에는 제사와 관련된 숭배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였다"" 그러나 차츰 예(禮)는 인간사회의 생활규범까지 포괄하게 되었는데, 순자가 중국사상사에서 예를 인간사회의 최고 가치규범으로 정의했다"" 그렇다면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을까? 우리는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악설의 개념...2024.11.24
-
성무선악설2024.11.251.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을 논한 인성론(人性論)이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두 가지 본성이 있는데, 하나는 동물들과 공유하는 자연적 본성이고 다른 하나는 오직 인간만이 갖는 도덕적 본성이다. 맹자는 이 도덕적 본성에 주목하여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맹자는 인간이 천성적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지성(四端之性)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인간에게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선한 마음...2024.11.25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
-
성악설 근거2024.10.161. 맹자와 순자의 인간본성에 대한 견해 차이와 그 영향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철학자로 유교에서 성선설을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근본적으로 선하며, 태어날 때부터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善的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다. 이 네 가지 도덕적 마음가짐을 '사단(四端)'이라고 하는데, 맹자는 이것이 인간의 본성인 '성(性)'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맹자는 인간이 당연히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추구...2024.10.16
-
기업경영 비즈니스 전략 기말 족보, 융합적 분석 인문학 대안 정리2024.12.071. 인간의 본성에 대한 융합적 분석과 AI와의 관계 1.1.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 해석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 해석은 동양의 맹자와 순자의 견해로 대표된다. 맹자는 인간의 심성(心性)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친 반면,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보는 '성악설'을 내세웠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이 타고난 본성이 선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맹자는 인간에게 사단(四端)이라는 선한 감정이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사단이란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non지심(是非之心...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