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국가론 1장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정의에 관한 논쟁2024.11.251. 정의에 대한 논의 1.1.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관 1.1.1. 정의는 '더 강자의 이익' 트라시마코스는 "정의는 '더 강자의 이익'"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민주 체제, 참주 체제, 귀족 체제 등 그 나라의 정치 형태에 따라, 지배하는 자들은 그들의 편익에 부합하게 법률을 제정하고 통치한다. 즉, 어떤 국가든 수립된 정권의 편익이 올바른 것이고, 수립된 정권은 언제나 힘을 행사, 즉 지배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정의는 더 강한 자의 편익이 된다는 것이다. 트라시마코스는 이를 통해 정의에 대한 현실적이고 냉소적인 관점을 표...2024.11.25
-
플라톤 국가 2권 요약2024.09.061. 플라톤의 국가 개요 1.1. 나라의 기원과 발달 나라의 기원과 발달은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통해 설명된다. 소크라테스는 나라가 생기는 이유가 개개인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를 자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개인에게 필수적인 것은 음식, 주거, 의복 등의 마련이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본인의 성향에 맞는 일을 적절한 시기에 해야 한다. 따라서 나라는 필요에 의해 형성되며,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력을 통해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글라우콘은 이러한 "최소 한도의 나라"를 "돼지들의 나라"라...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