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중환자실 flow sheet2024.09.09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1.1. 중환자실의 종류 중환자실의 종류는 크게 진료에 따른 분류, 장기에 따른 분류, 증상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진료에 따른 분류에는 내과계 중환자실(MICU: Medical ICU), 외과계 중환자실(SICU: Surgical ICU), 소아 중환자실(PICU: Pediatric ICU), 신생아 중환자실(NICU: Neonatal ICU), 산과 중환자실(FICU: Fetal-Maternal ICU)이 있다"" 장기에 따른 분류에는 호흡기계 중환자실(RICU: Respiratory IC...2024.09.09
-
간호단위관리 사례2024.08.151. 서론 1.1. 간호관리학 실습의 목적과 중요성 간호관리학 실습의 목적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간호관리학 실습의 목적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간호단위 내 간호활동을 관리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입원부터 퇴원까지 환자에게 제공되는 전반적인 간호활동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 개개인의 간호요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간호관리학 실습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단위 내 간호활동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함으로써...2024.08.15
-
환자보관용 처방전2024.09.021. 의약품 관리 1.1. 용어의 정의 표준온도는 20°C이다. 실온보관은 1~30°C 범위이다. 냉장보관은 2~8°C 범위이다. 상온보관은 15~25°C 범위이다. 냉소보관은 1~15°C 범위이며 필요 시 냉장보관으로 갈음할 수 있다. 냉동보관은 -5°C 이하이다. 비치의약품은 환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에서 병동 등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의약품이다. 회수의약품은 안전상의 이유로 행정당국(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회수가 결정된 의약품이다. 응급의약품은 심폐소생술 시행 시 필요한 의약품이다.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은 냉장...2024.09.02
-
의료기관 이송 보고서2024.09.111. 응급처치 관리 연수 계획 1.1. 목적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응급처치 및 후송체계를 확보하여 응급증상을 보이는 유아에 대해 적기에 적정 수준의 응급의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계획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유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여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1.2. 관련근거 관련근거는 학교보건법 제9조의 2(보건교육등)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8조(응급환자에 대한 우선 응급의료 등) 및 제11조(응급환자의 이송)이다. 먼저 학교보건법 제9조의 2에 따르면 유치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2024.09.11
-
헌혈 증진 방안2024.10.161. 혈액관리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혈액관리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수혈자와 헌혈자(獻血者)를 보호하고 혈액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혈액"이란 인체에서 채혈(採血)한 혈구(血球) 및 혈장(血漿)을 말한다. "헌혈자"란 자기의 혈액을 혈액원에 무상(無償)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혈액원"이란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6조제3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혈액관리업무"란 수혈(輸血)이나 혈액제제(...2024.10.16
-
간호관리학 지침서2025.07.011. 간호관리학 실습 개요 1.1. 실습 목적 간호관리학 실습의 목적은 환자의 필요에 맞게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의약품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체계를 유지하고, 마약류와 관련된 법규를 준수하여 마약류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낙상으로 인한 환자의 상해를 줄이기 위해 환자의 특성과 의료기관의 시설 및 환경을 고려한 낙상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수혈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혈 절차와 수혈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며, 환자안전사건의 발생을 예방하고 보고체계를 수립하여 원인분석 및 개선활동을 수행하며, 전자의무기록과 전산적자...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