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감염 개선활동2024.09.171.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활동 1.1. 개선 활동 추진 배경 2023년 감염관리 위원회의 본원 Risk Assessment tool 선정 결과에 따르면 손위생 수행률,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 부적절한 환경 관리 순으로 높은 위험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손위생 수행률이 낮고(75%), 다제내성균 원내 발생 건수가 증가(CRE 1건, MRSA 2건)했으며, 환경관리 수행률이 낮은(60%) 점이 감염 발생률 증가와 관련되어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로 인해 의료관련감염 발생 위험, 환자 안전 저하, 감염 확산 가능...2024.09.17
-
손위생교육2024.11.051. 병원 내 손 위생 관리 계획 1.1. 주제 선정 배경 ○○병동은 소화기내과 병동으로 고령의 전신 쇠약 환자, 암 환자, 알콜성 간경변증, 장염 및 설사 등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질환의 환자가 주로 입원하고 있어 감염 위험성이 높다"" 이에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손 위생 증진활동을 통하여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고자 한다"" 병원 전체 교육만으로는 반드시 손 위생을 수행해야한다는 자각을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하고 이는 결국 행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손 위생 수행률이 저조한 전체 교육의 한계를 ...2024.11.05
-
감염관리 손위생 수행 증진 중간 결과보고서2024.11.221. 손 위생 QI 활동 개요 1.1. 주제 및 필요성 손 위생 QI 활동의 주제는 '손 위생 수행 증진'이며, 이는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병원 내 손 위생 수행률이 전년대비 00% 감소하였고(00년 00% → 00년 00%), 손 위생은 의료기관에서 감염 예방의 핵심 요소로 손을 통한 미생물 전파를 차단하여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데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내 손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료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손 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손 씻기는 경제적인 감염병 예방수칙이자 예방접종과 함께...2024.11.22
-
손위생 중간보고서2024.09.101. 손 위생 QI 활동 1.1. 주제 및 필요성 손 위생 수행 증진은 의료기관에서 감염 예방의 핵심 요소이다. 손을 통한 미생물 전파를 차단하여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데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병원의 손 위생 수행률은 전년도에 비해 00% 감소하여 00%까지 떨어졌다. 이는 의료기관 내에서 손을 통한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병원에서는 손 위생 수행률 향상을 위한 질 향상 활동을 시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의 안전을 확보하고, 병원 감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특...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