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염료희석법 적분 원리 활용 방법2024.11.231. 염료희석법을 통한 심박출량 측정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의의와 측정 방법 심박출량은 심장이 단위 시간, 보통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을 의미한다. 심박출량은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움직이는 펌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심박출량은 심박수(heart rate, HR)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의 곱으로 정의되며, 단위는 mL/min 또는 L/min를 사용한다. 심박수는 1분당 심장이 뛰는 횟수이고, 일회박출량은 심장이 1회 박동하였을 때 박출하는 혈액의 양이다. 심박출량...2024.11.23
-
심박출량(CO2024.09.081. 심장의 구조 1.1. 심장의 층 심장의 층은 심장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혈액이 직접 닿는 내막층인 심내막(endocardium)이 있다. 심내막은 심장 내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혈액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 다음으로 심근(myocardium)이 있는데, 이는 심장의 주된 근육층으로 수축력을 발휘하여 혈액을 펌프질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심장을 감싸고 있는 가장 바깥층인 심외막(epicardium)이 있다. 심외막은 장측 심막(visceral pericardium)과 벽측 심막(p...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