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탁도2024.10.071. 탁도(Turbidity) 1.1. 탁도의 정의 탁도는 물의 혼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 속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부유물질은 진흙, 오물, 화학적 침전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로 인해 물이 흐리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부유물질의 크기는 콜로이드 상태부터 거친 부유물질까지 다양한 범위를 가지고 있다. 탁도는 이러한 부유물질의 양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물질의 크기와 표면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정제한 백도토(정제 카올린)가 62~74㎛의 입자 1㎍을 물 1L에 포함할 때의 탁도를 1도(또는 1...2024.10.07
-
수질화학 실험 고형물질 측정 보고서2024.12.081. 수질화학 및 실험 고형물질 1.1. 실험목적 물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고, 인류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용도에 따른 수질기준에 적합한 수질검사를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이번 실험의 주제는 고형물질이다. 고형물질이 많으면 액체의 탁도가 높고 음용수의 경우 심미적인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장에서 처리 시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수질오염의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또한 먹는물 수질기준, 방류수 기준 등 수질기준에서 기준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형...2024.12.08
-
망간법 실험2024.11.04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1.1. COD의 정의와 중요성 COD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이는 수질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COD는 수중의 유기물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산화제(주로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를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산화시킨 후 소비된 산소량을 계산하여 나타낸다. 이를 통해 수중 유기물의 오염 정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024.11.04
-
왜 사람들은 락스를 많이 쓸까2024.09.011. 요구되는 물의 품질과 그에 따른 정수처리의 변화와 문제점 1.1. 서론 산업혁명이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산업폐수의 증가로 수질 오염은 심각해 졌다. 초창기에는 그 심각성을 모르다 20~30년 전부터 선진국 국민들이 심각성을 인식하고 수질 개선 전문가를 고용하길 원하면서 점차 수질 오염에 대한 심각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위의 그림은 일인당 쓸 수 있는 물의 양을 m3 단위로 수치화 한 것이다. 여기서 물 부족국가 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기준점은 25,000 m3 이다. 만약 25,000 m3 보다 높으면 물 충분...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