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토목기사2024.09.271. 상하수도 공학 1.1. 총론 상하수도 공학의 '총론'은 상하수도 시설 전반에 걸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다룬다. 상수도 분야에서는 수원 및 취수, 정수, 배급수 등의 프로세스와 설계 기준을 다루며, 하수도 분야에서는 하수 발생량 추정, 관로 시설 계획, 펌프장 및 처리장 설계 등을 다룬다. 총론에서는 우선 상하수도 시설의 목적과 기능을 개괄한다. 상수도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식수 공급을 위한 시설이며, 하수도는 오염된 하수를 처리하여 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수원 확보, 정수, 배급수, 하수 수집, 처리 등...2024.09.27
-
인공신장실 관리2024.10.261. 물 처리 1.1. 물이란? 물은 복합체이고, 불완전한 화학적 화합물이다. 가장 순수한 형태의 물은 구름으로부터 만들어진 순수한 빗물이다. 그 빗물은 높은 에너지 형태의 물이다. 비구름에서 수도 꼭지에 이르는 동안 물에는 용질과 부유물과 같은 불순물이 섞이게 된다. 투석 기술의 향상으로 투석 시 사용되는 순도 높은 물의 생산이 가능해졌다. 즉 정수 과학이 발전하게 되면서 역삼투압 막, 박테리아뿐 아니라 내독소를 걸러내는 초여과 장치, 진보된 모니터링 체계가 투석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1.2. 수돗물의 불순물 수돗물의 불순물은 ...2024.10.26
-
상하수도공학 3장2024.10.101. 상하수도 개요 1.1.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 시설은 크게 수원, 취수시설, 도수관로, 정수장, 배수관로, 배수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수원은 지표수, 지하수, 해수 등이 있으며, 취수시설은 저수지, 강, 하천, 지하수 관정을 통해 원수를 끌어온다. 도수관로는 수원에서 정수장까지 원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수장에서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한다. 배수관로는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을 가정과 기관에 공급하는 시설이며, 배수시설에는 배수펌프장과 배수지가 포함...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