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2024.11.22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1.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일시적인 빈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양성 질환이며,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것이다. 주로 만삭아에게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미숙아에서도 발견되며, 분당 호흡수는 80~120회 정도로 빠르게 호흡한다. 신생아들의 약 1%정도에게 나타나며, 치료와 함께 몇 일 이내로 회복된다. TTN을 가지고 태어나는 아...2024.11.22
-
신생아 간호 요약 및 관리2024.09.221. 신생아 간호 1.1. 분만실 → 신생아실 옮겨질 때 간호 분만실에서 신생아실로 옮겨질 때 간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와 산모에 대한 정보를 인수인계받는다. 산모의 이름, 출생 시 몸무게 측정, 출생시간, 아기의 성별 등의 내용을 확인하고, 신생아의 신분확인 밴드와 출생기록지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그 후 체계적인 신체검진을 실시한다. 신체계측을 통해 두위, 흉위, 신장, 체중 등을 측정하고, 피부, 태지, 솜털, 머리, 눈, 코, 입, 귀, 목, 가슴, 폐, 심장, 복부, 둔부, 척추, 생식기, 사지...2024.09.22
-
nicu 신체사정2024.10.10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1.1. 정의 및 유발요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인 팽창을 유지시켜 주는 물질인 폐 표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진행성 호흡부전의 하나이며 주로 미숙아에서 나타난다"" 폐의 성숙도가 미숙할수록 잘 발생하므로 자궁 내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 체중이 작을 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전체 출생 중 약 2%의 빈도를 보이며, 28주 미만에서 60~80%, 37주 이후에는 5%이지만, 만삭에서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출생 체중별로는 1500g 미만...2024.10.10
-
기도삽관 흡인 판례2024.10.101. 사례 요약 1.1. 법원 판례 개요 원고 강A1은 2007년 12월 2일 □병원에서 원고 조A2를 출산한 후 2007년 12월 9일 퇴원하여 산후조리원에서 지내다가 원고 조A2의 설사와 구토가 이틀간 지속되어 2007년 12월 16일 피고 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였고, 로타바이러스 장염 진단을 받고 수액요법 등의 치료를 받았다"이다. 피고 병원 소속 간호사인 소외 이C은 2007년 12월 19일 15:05경 원고 조A2에 대하여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과 정맥주사의 교체를 시행하던 중 원고 조A2가 심하게 울면서 보채다가 청색증...2024.10.10
-
아동간호학 미숙아 저체중아2024.10.0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해마다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며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지만 이에 반해 출생아 수 대비 미숙아(재태기간 37주 미만의 조산아)의 출생률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출생아 수는 32.7만명이지만 이중 7.8%가 미숙아로 2만 5천명 이상의 신생아가 미숙아로 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이면 국내 출생아의 약 10%가 조산아로 태어날 것으로 본다. 당장 6년 뒷면 초등학교 ...2024.10.09
-
아동 시뮬레이션2024.09.031. 신생아 간호 1.1. 손씻기 손씻기는 신생아 간호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다. 감염 예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로, 수행 시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손씻기는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 기반의 소독제를 이용하여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생아실에서는 손 씻기 전후로 반드시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을 시행해야 한다. 먼저 물과 비누로 손을 씻고 세척한 뒤,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 전체를 15초 이상 문질러 소독한다. 이때 손가락 사이, 손등, 손목 등 손의 모든 부위를 빠짐없이 소독해야 한다. ...2024.09.03
-
정상신생아 케이스 연구 아동학2025.02.1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신생아에게 필요한 가장 중요한 생리적 변화는 태반 순환에서 독립적인 호흡으로의 전환이다. 태반으로부터의 분리는 완전한 대사 지지의 상실, 특히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의 상실을 의미한다. 분만과정의 정상적 스트레스는 태반의 가스교환 양상과 심혈관 활동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정상적 전환이나 태아 산소화를 방해하는 요인들은 태아의 자궁외 생활에 대한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신생아의 자궁외 생활에 대하여 사정하고 건강증진간호에...2025.02.11
-
정상신생아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생아황달 사례 연구2025.02.201. 정상신생아의 정의와 생리적 특성 신생아는 태아가 모체에서 떠난 순간부터 임신·분만의 영향이 사라지고 태외생활로의 적응과정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에 있는 소아를 말한다. 보통 생후 28일 미만을 신생아기라고 하며, 특히 생후 1주일간은 신생아기의 특징을 가장 강하게 나타낸다. 신생아는 태어날 때의 호흡 개발로 난원공 동맥관이 기능적으로 폐쇄하고 태아형 순환에서 성인형 순환으로 이행한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태변 배설이 있고 4일째 무렵까지 유변(乳便)으로 이행하며, 5~10%의 생리적 체중감소를 보이기도 한다. 정상 신생아의...2025.02.20
-
정상신생아 간호 진단 및 간호과정 사례 연구2025.02.201. 정상신생아 간호 진단 및 간호과정 사례 연구 1.1. 질병에 대한 이해 1.1.1. 정상 신생아의 정의 신생아란, 태아가 모체에서 떠난 순간부터 임신·분만의 영향이 사라지고 태외생활로의 적응과정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에 있는 소아를 말한다. 보통 생후 28일 미만을 신생아기하고 말하며 특히 생후 1주일간은 신생아기의 특징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신생아는 태어날 때의 호흡의 개발로 난원공 동맥관이 기능적으로 폐쇄하고 태아형 순환에서 성인형 순환으로 이행한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태변 배설이 있고 4일째 무렵까지에 유변...2025.02.20
-
산후출혈의 증상2024.09.051. 산후 위험한 증상 1.1. 산후 출혈 1.1.1. 정의 산후 출혈이란 질식 분만 후 500ml 이상 이거나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혈액 손실이 있는 것이다. 또한 출산을 위한 입원 당시와 출산 후의 헤마토크릿의 차이가 10% 이상이고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정도의 출혈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1.1.2. 원인 조기 산후 출혈의 대부분의 원인은 자궁이 혈관을 수축시킬 만큼 충분히 수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오랜 시간 진통으로 인해 자궁 근육이 약해졌거나, 다태 임신을 했거나, 또는 양수 과다증, 거...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