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한국교육개발원2024.09.111. 수업이론 1.1. 글레이저와 드 세코의 수업과정모형 1.1.1. 글레이저와 드 세코 수업모형의 특징 글레이저(R. Glaser)와 드 세코(Pe Cecco)의 수업모형의 특징은 수업이 진행되는 교수과정을 하나의 체제(system)로 보고 그것을 (1) 수업목표 (2) 출발점 행동 (3) 수업절차 (4) 성취도 평가의 4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은 수업이 한 단계 한 단계가 바로 뒤따르는 후속단계의 활동을 결정하는 계속적인 결정과 수정의 모형이라는 것이다. 즉, 수업목표가 결정되면...2024.09.11
-
초등학생 학습효과 자료수집2024.10.041. 서론 1.1.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재 확대 2025년부터 교실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학생 수준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는 'AI 디지털교과서'가 등장한다. 도입 초기에는 종이 교과서도 함께 사용하지만, 2028년 이후에는 디지털교과서로 전면 전환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서의 학습 콘텐트에 AI 기반의 코스웨어(Courseware·교과과정 프로그램)를 적용한 신개념 교과서이다. 과목에 따라 메타버스, 음성인식, 필기인식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2024.10.04
-
심리교육학의 발전과정2024.09.191.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 1.1. 교육심리학의 태동 교육심리학의 태동은 교육학과 심리학의 학문적 이론에 근거하여 성립되었지만, 이미 19세기 전반기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된 학문적 연구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독일의 교육사상가인 Herbart는 처음으로 심리학을 교육에 응용하려고 시도했으며, 1806년 출판한 "일반 교육학"에서 윤리학과 심리학을 교육의 기초학과라고 주장하고 윤리학에서 교육의 목적을, 심리학에서 교육방법의 원리를 구하고자 했다. Herbart 시대에는 근대 심리학이 성립하기 이전이었지만 그는 교육이 아...2024.09.19
-
addie학습지도안2024.10.161. 교수설계 보고서 1.1. 학습주제 학습주제는 "신종 감염병 시대, 청소년을 위한 올바른 감염관리법 배우기"이다. 이는 감염 예방을 위한 올바른 감염관리법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양시 소재 B고등학교 2학년 4반 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감염관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면역 이론 수업은 있지만 구체적인 감염관리법에 대한 교육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감염관리법에 대한 이론적 지식은 갖추고 있으나...2024.10.16
-
지도안 어휘2024.12.021. 속담 교육을 위한 수업 지도안 1.1. 속담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속담 교육의 목적은 한국 문화와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속담은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인들의 지혜와 철학이 축적된 언어적 유산이기 때문에, 속담의 의미와 사용 맥락을 익히는 것은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로 이어진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교육 시 속담 학습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속담이 일상적인 대화와 의사소통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속담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어휘, 문법, 화용법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