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대구가톨릭대학교2024.10.201. 논어 1.1. 공자의 지혜와 가르침 1.1.1. 군자의 모습 군자의 모습은 공자가 제시한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군자는 도덕적으로 수양된 인격체로, 자기 수양을 통해 성인(聖人)에 이르고자 하는 인물이다. 『논어』에 따르면 군자는 "먼저 그 말을 행하고, 뒤에 그 말을 하느니라"라며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이다. 또한 군자는 "배우고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사람들이 나를 알아주지 아니하여도 원망하지 않는다면 어찌 군자가 아니랴!"라고 하여 배움에 대한 열정과 타인에...2024.10.20
-
흄 인간관2024.09.111. 철학자들의 다양한 인간관 1.1. 이성적 존재의 인간 1.1.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인간은 이성과 기계적 욕망을 가진 존재이며, 이성이 욕망을 잘 조절한다면 그 사람이 진정한 인간이 된다고 보았다. 또한 교육을 통해 인간은 이성적 수준까지 올라설 수 있지만, 육체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는 없는 한계를 가진다고 설명하였다. 즉, 플라톤은 인간이 현실에서 드러나는 모습이 아니라 이상적으로 달성해야 할 모습이 바로 이성적 존재라고 주장한 것...2024.09.11
-
이나모리 가즈오 '왜 일하는가' MZ세대 분석2024.10.051. 왜 일하는가? 1.1. 일의 목적 일의 목적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을 성장시키고, 인격을 수양하는 것이다. 일을 통해 우리는 자아를 확립하고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일은 개인의 내면을 성장시킨다. 고난과 역경에 맞서 끈기 있게 일에 임하다 보면 마음이 강해지고 인내심과 집중력이 길러진다. 또한 작은 일에서도 기쁨과 감동을 느낄 줄 아는 자세가 생겨난다. 이렇듯 일을 하면서 내적으로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일은 인격을 수양하는 과정이 된다. 일에 몰두하다 보면 이기심이나 오만...2024.10.05
-
퇴계이황 역사적사건2024.10.10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철학 1.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생애 1.1.1. 퇴계 이황의 생애 퇴계 이황(1501~1570/연산군 7년~선조 3년)은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을사사화(1545) 등으로 나라가 피폐해지고 갈등이 난무하던 사화의 시대에 살았던 학자이다. 그래서 더욱이 학문을 가르치는 일에 힘쓸 수밖에 없었다. 이황은 경북 안동에서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홀어머니에게 길러졌으며, 그는 다른 유생들과 달리 시험에 나올 것들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의 깊은 ...2024.10.10
-
성선설의 근거2024.10.021. 맹자의 성선설 1.1. 성선설의 개념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성선(性善)이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본성적으로 선하다는 개념이다. 맹자는 인간이 하늘에서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곧 인간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인간이 선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인간이 도덕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인 성선은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며, 이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등의 사단(四端)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사단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도덕...2024.10.02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
-
성악설 근거2024.10.161. 맹자와 순자의 인간본성에 대한 견해 차이와 그 영향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철학자로 유교에서 성선설을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근본적으로 선하며, 태어날 때부터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善的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다. 이 네 가지 도덕적 마음가짐을 '사단(四端)'이라고 하는데, 맹자는 이것이 인간의 본성인 '성(性)'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맹자는 인간이 당연히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추구...2024.10.16
-
자각의 수레바퀴2024.10.131. 자각의 수레바퀴 기술 실례 1.1. 시차적응 지난 2010년 8월 23일부터 4주간 미국 조지아주 아틀란타에 있는 RTS에서 D.Min코스 수업이 있었다. 이 일을 위해 내가 있는 대한민국 강원도 화천에서 새벽3시에 인천공항을 향해 출발하였다. 전 주간까지는 내가 있는 강원도 화천 명성교회에서는 여름철 수련회가 계속 진행 중이었다. 미국에 가야하기에 모든 일정을 서둘러 끝내고, 주일 예배를 마무리하였다. 처음 하는 미국까지의 장거리 여행은 무리였다. 자그마치 14시간의 비행, 거기다가 시차가 계속 낮으로 이어졌다. 하루를 꼬...2024.10.13
-
동서양고전의이해 맹자2025.04.041. 동서양고전의 이해 1.1. 맹자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대표적인 유학자이다. 그의 왕도정치 사상은 조선 사대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맹자는 기원전 4세기경 전국시대에 산둥성 쩌우청에서 태어났다. 맹자는 노나라 세력가 중 한 가문인 맹손씨의 자손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맹자의 본래 이름은 맹가였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의 주요 교통수단이었던 수레를 뜻하는 말이다. 이는 공자가 수레를 타고 천하를 주유하며 사상을 전파한 것과 유사하게, 맹자도 수레를 타고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사상을 전파했...2025.04.04
-
성선설 성악설 비교2024.09.051. 서론 인류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은 경쟁과 전쟁 그리고 분쟁으로 이루어졌다 하여도 큰 이상이 없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었으며, 아시아 중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념의 싸움과 달리 영토 위주로 일어난 중세의 전쟁은 일상이었다. 덕분에 백성들은 살아남지 못했고, 핍박과 착취를 받으며 지내야만 했다. 공자는 인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정치를 역설했다. 당연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명의 정치를 주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규범을 잃었고, 공자는 올바른 행위 규범을 확립했다. 그에 따라 보편적인 도덕•윤리...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