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GI bleeding2024.10.031. GI 출혈의 정의 및 원인 1.1. 상부 GI 출혈의 원인 상부 GI 출혈의 주요 원인은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이다. 이는 전체 상부 GI 출혈의 약 50%를 차지한다.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은 주로 장기간의 소염제 복용이 원인이 된다. 또한 미란성 위염도 상부 GI 출혈의 주요 원인으로 약 25-30%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식도 하부의 열상(Mallory-Weiss 증후군), 위나 식도 정맥류, 위 혈관의 동정맥 기형 등도 상부 GI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식도 정맥류 출혈은 간경화로 인한 문맥압 항진이 주된 원인이며,...2024.10.03
-
응급실간호사의30일2024.09.011. 임상실습 보고서 1.1. 실습 내용 1.1.1. 응급실 실습 개요 응급실 실습 개요는 다음과 같다. 00병원 응급실은 총 5개 구역(A~F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실습생들은 매일 다른 구역에서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증상의 환자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응급실이라는 특성상 긴장감 속에서도 재미있게 실습할 수 있었다. 실습생들은 환자의 바이탈 사인 측정, 투약 및 검사 과정 참여, 환자 관찰 등의 기본간호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중증 환자가 있는 A구역에서는 연명치료 중단 과정도 관찰할 수 있었다. 바...2024.09.01
-
산후출혈 간호진단2024.09.011. 간호 진단 및 계획 1.1. 회음부 열상으로 인한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1.1.1. 활력징후 모니터링 활력징후 모니터링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하여 관찰한다. 특히 혈압과 맥박은 15분 간격으로 2번씩 체크하며, 체온과 호흡수도 계속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변화를 파악하여 산후출혈 및 감염 등의 문제 발생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다. 저혈압, 빈맥 등의 활력징후 변화는 산후출혈이나 감염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신속히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