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탈아론2024.10.071. 일본과 조선의 근대화 1.1. 일본의 근대화 1.1.1. 에도 막부의 통상 수교 정책 원래 에도 막부는 외국과의 교류를 거부하고 통상 수교를 하지 않았으나 중국의 아편 전쟁이 전해지면서 통상 수교 제한을 완화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이 개항하고 약 10년 후인 1853년에 미국은 일본을 중국 진출을 위한 중간 기지로 삼고자 개국을 요구하였다. 이에 1853년 6월 3일 미국의 동인도 함대 사령관 페리가 군함 흑선 네 척을 이끌고 우라가(浦賀)에 나타나서, 강압적인 자세로 필리모어 대통령의 국서 수리와 개국을 강요하였다. 이후 ...2024.10.07
-
수신사 파견 제1차부터 4차까지2024.09.191. 조선의 수신사 파견 1.1. 1차와 2차 수신사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조선은 모두 4차례에 걸쳐서 수신사를 일본에 파견하게 되었다. 첫 번째 수신사로 파견된 인물은 김기수이다. 187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김기수는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후 예조 참의로 임명되어 수신사에 선발되었다. 그는 76명의 사절단을 이끌고 일본에 파견되어 일본의 근대화 모습을 둘러보고 귀국 후 이를 기록한 『일동기유』를 저술하게 된다. 『일동기유』는 총 4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을 떠나 일본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 일본에서...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