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수술부위 해부도2024.10.071. 개요 1.1. 질병 소개 원위 요골 골절은 상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이다. 기대 수명의 연장과 스포츠활동의 증가로 인해 그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원위 요골 골절은 비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2013년 연구를 통해 원위 요골의 해부학적 정복이 후외상성 관절염의 예방에 필수적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견고한 내 고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고정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골절의 적절한 고정을 위해서 중요하며, 고정물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에도 필수적...2024.10.07
-
ankle fusion2024.11.131. 근골격계 손상과 관련된 보행장애 1.1. 간호사정 대상자의 기능적 상태 및 보행능력에 관한 정보를 사정하였다. Subjective data에 따르면 대상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것이 힘들긴 한데 이렇게라도 운동해야지"라고 말하며 보행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Objective data에 따르면 대상자는 지난 6월 23일 우측 발목 관절 융합술을 받았으며, 보행이 원활하지 않아 이동식 변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수술 부위에 냉찜질을 유지하고 있으며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2024.11.13
-
정형외과 보조기2024.11.301. 정형외과 보조기 1.1. 하지 보조기 1.1.1. Hip Abduction Brace 고관절 외전 보조기(Hip Abduction Brace)는 고관절 전치환술, 고관절의 교정 수술 후 대퇴경부의 골절 치유 등의 경우에 고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보조기는 고관절을 일정한 외전 각도로 유지하여 고관절 굴곡 기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에는 고관절 탈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일정 기간 동안 고관절 외전 보조기를 착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2024.11.30
-
울트라 슬링2024.11.301. 서론 1.1. 연구 배경 회전근개 파열은 모든 나이의 환자들에게 나타나지만 주로 40대 이상의 장년층의 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어깨 통증이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호발한다. 회전근개의 파열은 어깨의 통증이므로 오십견의 증상으로 착각하여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회전근개 파열의 치료가 늦어지면 만성화됨에 따라 지방변성, 유착 등으로 수술적 봉합이 어렵게 되거나 봉합이 가능해도 결과가 좋지 않아 치료적 예후가 좋지 않다. 따라서 회전근 개의 증상을 제대로 파악하여 오십견과 회전근개 파열의 증상을 구분함으로써 회...2024.11.30
-
근육기시정지2024.12.241. 근육의 구조와 기능 1.1. 근육의 분류 1.1.1. 수의근 수의근(수의적운동근, 수의근)은 우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이다. 대뇌피질과 연결된 운동신경 지배를 받고 있어, 우리가 의식적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의근은 우리가 임의대로 움직일 수 있는 골격근이다. 안면근, 혀근, 눈썹근, 눈꺼풀근, 팔다리의 근육 등이 대표적인 수의근에 해당한다. 이러한 수의근들은 우리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다양한 동작과 표정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해준다. 즉, 수의근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2024.12.24
-
반월판 절제술 간호진단2024.11.121. 서론 고OO(M/55) 대상자는 지난 6월 5일에 본원에 입원하였다. 1995년에 Rt.ACL rupture로 수술을 받았고, 2013년에는 Lt. ACL rupture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이다. 양쪽 다 수술했던 상태에서 특별한 계기 없이 2~3주전 부터 왼쪽 무릎에 힘이 없고 펴지지 않는다는 증상을 호소하여 외래에서 진료를 받았고, MRI 판독 결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파열이 있어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원래는 6월 7일에 OP 예정이었으나 혈당 조절이 되지 않아 수술이 미뤄졌다. 따라서 유지하고 있던 NPO를 중단하고 인...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