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수술실 실습일지 배운점2024.09.231. 수술실 실습 1.1.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란 기계적 그리고 화학적 방법으로 손을 씻는 것으로,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가기 전 손과 팔의 피부에 있는 일과성 미생물(transient flora)과 상주성 미생물(resident flora)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액과 비누를 묻힌 솔로 손과 팔을 닦은 후 물로 헹구어 내게 된다"이다. 외과적 손 씻기 전에 반드시 반지, 시계와 팔지 등을 제거해야 하며, 손등에 비해 손끝의 오염도가 심하고...2024.09.23
-
수술실2024.09.211. 수술실 기본 기구 및 장비 1.1. 기본 기구 1.1.1. Hemostate Hemostate는 혈관을 잡거나 압박하여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그 중에서도 Kelley와 Mosquito가 대표적이다. Kelley는 mosquito보다 큰 부위를 압박하거나 잡을 때 사용하며, Mosquito는 작은 조직을 잡거나 압박할 때 사용한다. 형태적으로는 Kelley가 더 크고 직선에 가깝다면, Mosquito는 작고 곡선의 형태를 띄고 있다. 또 Vessel clamp는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눌러주는데 이용되...2024.09.21
-
정맥수액 주입에 관한 개념도 작성해줘2024.09.191. 마취간호 1.1. 전신마취 1.1.1. 정의 및 개념 전신마취란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감각, 운동 및 반사를 소실시키는 방법이다.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가 수술을 받는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흡, 혈압 및 전신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일련의 진료 과정이 전신마취이다. 마취제를 투여하면 호흡이 억제되거나 소실되고, 심혈관계 기능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마취 깊이가 유지되도록 적절한 양의 마취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호흡기 및 심혈관계 이상...2024.09.19
-
마취제 및 합병증2024.10.28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 과정에서 멸균된 수술 가운을 입고 멸균 영역에서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활동하는 간호사이다.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함은 물론 집도자의 요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소독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한다. 둘째, 드레이핑에 사용하는 린넨을 준비하고, Mayo stand를 준...2024.10.28
-
수술실 disc2024.10.081. 수술환자 간호 사례 연구 1.1. 수술 환자 간호 정보 수술 환자 간호 정보는 수술을 받는 환자의 상태, 수술의 특성, 수술과 관련된 간호 활동 등을 포함한다. 먼저, 수술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술 환자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수술을 받게 되는데, 환자의 연령, 성별, 과거력, 영양상태, 감염 여부 등 개인적 특성이 수술 결과와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수술 환자의 이러한 특성을 사정하고 이를 토대로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다음으로, 수술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2024.10.08
-
Surgicel2024.11.111. 수술 간호 기록 1.1. 수술 중 간호기록 1.1.1. 마취 종류 마취 종류는 전신마취, 국소마취, 및 기타 등으로 분류된다. 전신마취는 전신을 마취시켜 의식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취 방법이다. 국소마취는 수술 부위만을 마취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나 피부 절개 등에 사용된다. 기타 마취로는 척추마취, 경막외마취, 말초신경차단마취 등이 있다. 마취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부작용 등에 대해서도 숙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Fresofol 1%는 전신마취의 유도 및 유지에...2024.11.11
-
수술실 장비2024.10.30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로, 멸균된 수술가운(sterile attire)을 입고 멸균영역(sterile)에서 활동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효과적으로 처리한다. 소독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맡은 수술에 대하여 미리 예정표를 보고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수술에 필요한 기구나 기계를 준비하고...2024.10.30
-
폐엽절제술 수술 전후 관리 및 폐암 사례 연구2024.11.031. 서론 1.1. 문서 개요 이 문서는 폐암 환자의 폐엽절제술에 대한 간호 사례 연구 보고서이다. 문서의 주요 내용은 폐암의 정의와 특징, 폐암의 정의 및 원인, 병태생리 및 증상, 진단, 치료법 등의 문헌 고찰과 폐엽절제술의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간호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폐암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와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문서의 목적이다. 1.2. 폐암의 정의 및 특징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일컫는다. 모든 원발성 폐암의 90% 이상이 기관지 상피조직에서 발생한다. 조직학적 ...2024.11.03
-
Lt, d-j insertion2024.09.021. 수술 전 환자 준비 상황 확인 1.1. 환자 정보 사례환자 전ㅇㅇ님의 환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전ㅇㅇ님은 남성이며, 40세의 연령이다. ASA 등급은 I 등급이다. 진료과는 일반외과(GS)이며, 수술 일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1.2. 과거력 및 진단명 과거력 및 진단명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례 환자의 경우 3년 전 요로결석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으며, 15년 전 맹장염과 1년 전 왼쪽 손가락 힘줄 파열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다. 이번에는 상세불명의 급성 신장통증으로 인한 요관 및 신장 결석 진단을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