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수술전중후간호2024.09.221. 수술 전 간호 1.1. 수술 전 환자 사정 1.1.1. 건강력 수술 전 환자의 건강력을 사정하는 것은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수술 후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건강력 사정을 통해 환자의 알레르기, 약물 복용력, 과거 병력 및 수술 경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한다. 환자가 요오드, 라텍스, 세재, 반창고 등에 알레르기가 있는지 사정해야 한다. 수술 중 이러한 물질들에 노출되면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한다. 아스피린...2024.09.22
-
수술 환자 교육2024.10.151. 수술 전 환자 준비 교육 1.1. 수술 전 진행 사항 안내 1.1.1. 환자 상태 조사 수술을 시행하기 앞서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조사한다. 이는 환자의 수술 전 상태를 확인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시행하기 위함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심박수, 음주 및 흡연 여부, 과거 수술 경험, 마취 경험, 가족력 등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수술에 따른 위험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심박수, 음주 및 흡연 여부는 마취와 수술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확인된다. 또한 과...2024.10.15
-
A-line 과 F-cath 각각의 "정의, 목적, 삽입부위, 적응증, 준비물, Set 준비과정, 삽입과정, 관리 및 간호, 관련 합병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줘2024.09.071. 대동맥판막 협착증 1.1. 역학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역학은 다음과 같다.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은 만성 판막질환 환자의 1/4에서 발생되며 환자의 80%가 남자이다. 발생원인은 거의 대부분이 후천성 류마티스 열로 인해 일어나게 되며 노인환자에서는 흡연, 고혈압, 과체중, 당뇨병, 연령 증가 등의 위험인자에 의해 생기는 대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부터 발생되기도 하고 대동맥판막의 퇴행성 변화 및 석회화로 판막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하여 생긴다. 또 대동맥판의 선천성 기형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2024.09.07
-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술 케이스스터디2025.02.2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역사적으로 제왕절개 분만은 사망했거나 사망해가는 모성의 신체로부터 영아를 배출하기 위한 기술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현대적 마취와 무균 수술 기술이 발전되면서 국제적으로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2012년 26.9%에서 2021년 58.7%로 증가했다. 주된 상승의 이유는 한국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 지속 증가와 함께 모든 연령층에서 제왕절개 분만율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