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5개
-
수술 후 부작용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2024.12.191. 제왕절개 분만 1.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및 현황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Cesare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cut"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1960년대 4%였던 것이 2004년도에 38.1%, 2017년도에는 45.0%로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제왕절개 분만율 상승은 태아전자감시기의 확산, 마취 및 외과적 간호의 안전성 증가, 반복 수술의 증가, 고령산부의 ...2024.12.19
-
수술실 TKRA 및 고관절 반치환술 과정 분석2024.12.201. 전슬관절치환술 1.1. 수술 개요 전슬관절치환술은 관절염으로 인해 손상된 무릎 관절을 절개하여 관절 표면을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통증을 없애고 경화된 관절의 기능을 소생시켜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며, 관절의 안정감을 회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전슬관절치환술은 주로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경우에 수행된다. 관절 연골이 심하게 손상되거나 관절이 변형된 경우 적응증이 된다. 수술 시기는 중년층으로 질환이 심하게 진행되었거나 관절 파괴가 경미할 때가 적절하다. 양...2024.12.20
-
TFCA, coil2024.11.231. 서론 1.1. 뇌동맥류의 정의 뇌동맥류란 전체 인구의 약 1~2%의 유병률을 가진 것으로, 뇌 속에 있는 동맥 혈관이 정상혈관에 비해 약한 부분이 손상되고 결손이 생기면서 혈관벽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크기가 10mm 이하이며, 25mm 이상인 경우 특별히 거대 동맥류라고 부른다. 90% 이상이 윌리스고리(circle of Willis)라 불리는 뇌 바닥 쪽 굵은 뇌동맥에서 발견되며, 나머지는 원위부 (심장에 먼쪽 혈관 부위, 원위부로 갈수록 혈관이 가늘어지고 뇌에 직접 혈액을 공급한다.)의 가는 뇌...2024.11.23
-
불임 제왕절개 케이스2025.01.261. 서론 1.1. 제왕절개 사례 선정 이유 이번에 분만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본 케이스가 제왕절개 환자였다. 자연분만도 2번 볼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제왕절개에 비해 치유와 회복이 빨라서 퇴원도 빨리 하셨다. 제왕절개는 보통 날짜를 예약한 다음 입원해서 수술을 받고 수술 후 간호까지 받는다. 그래서 입원부터 퇴원까지 대략적으로 5일 정도 병원에 머무르기 때문에 나 또한 간호사 선생님과 함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 어머니도 우리 셋을 낳을 때 제왕절개로 출산하셨기 때문에 수술을 하는 이유, 수술과정, 수술...2025.01.26
-
자궁내막암 staging2024.09.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자궁내막암은 흔히 발견되는 부인암 중의 하나이다. 자궁내막암의 발생비율은 주로 폐경 이후가 75%를 차지하는 데 비해 40세 이전의 젊은 여성의 경우는 전체 자궁내막암의 5%로 드물게 발생한다. 1991년 처음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한국 부인암 등록사업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한 해 동안 132명이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되었고, 2004년에는 862명으로 여섯 배 이상 증가하였다. 2010년 한 해 동안 국내 여성 암의 1.8%를 차지하며, 여성 암 발생률 순위 12위인 것으로 보고되면서 부인암 중 가장 ...2024.09.10
-
정형외과 병동 일지2024.08.311. 수액 관리 1.1. 수액의 종류 및 특성 수액의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0.9% NS(normal saline)는 혈장량 손실이 크거나 대상자의 몸에 볼륨이 없을 경우 볼륨 공급을 위해 주입한다. 지속적인 주입 시 대사성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NS 1L 기준 150mEq Na 및 150mEq Cl이 포함되어 있다. 5% DW, 10% DW, 5% DS는 열량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 기능 저하, 외과적 수술 후, 당뇨병 케톤산증,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 등의 에너지 공급을 위해 사용...2024.08.31
-
골괴사 질병보고서2024.11.191.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1.1. 병태생리 1.1.1. 원인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원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첫째, 골절, 탈구, 관절 손상 등 고관절 부위의 외상으로 인해 뼈와 혈관에 손상이 생긴 경우이다. 이로 인해 대퇴골두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무혈성 괴사가 발생한다. 둘째, 지나친 음주로 인해 지방 물질이 동맥경화를 일으키면서 혈액 순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이다. 셋째, 류머티스성 관절염, 천식, 혈관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장기간 복용한 경우이다. 이런...2024.11.19
-
CABG2024.10.0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장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꾸준한 공급이 필요하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관상동맥이 이러한 혈액을 전달하는데, 이 동맥 한 개 이상을 좁히는 관상동맥 질환은 혈류를 차단하여 흉통(협심증) 또는 심장마비(심근경색증 또는 MI라고도 합니다)를 유발한다. 선진국에서는 관상동맥병이 남성과 여성 모두 주요 사망 원인으로, 모든 사망 중 약 1/3을 차지하는 질병이다. 관상동맥병 질환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이라고도 말하며, 말 그대로 "동맥이 굳음"으로 동맥 벽에 지방 침착물이...2024.10.03
-
ganglion, 수술실 case2024.10.251. 수술실 간호사례 1.1. 수술 전 환자 간호 수술 전 환자 간호에는 수술실 도착 시 환자 준비, 기계 준비, 수술부위 소독, 마취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먼저, 수술실 도착 시 정확한 환자 확인을 위해 수술 동의서, 마취 동의서, 수혈 동의서 등의 서류를 확인한다. 환자의 피부 상태도 면밀히 살펴 수술 전후 손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Foley catheter를 삽입하고 전기지혈패드(Bovie plate)를 환자의 왼쪽 허벅지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수술 과정에 필요한 기계들을 준비한다. 수술실에는 suction기...2024.10.25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서론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병이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며,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2일 이상 태변 배출이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