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6개
-
충수염 개념 및 수술 간호 정리2024.09.111. 급성 충수염(appendicitis) 1.1. 정의 급성 충수염(appendicitis)은 맹장 끝의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충수돌기는 소장의 회장이 끝나고 대장이 시작되는 부위인 맹장에 연결되어 있는 약 9cm 길이의 주머니 모양의 부위이다. 이 충수돌기에 급성 혹은 만성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서 대부분 급성 질환으로 나타나는 것이 급성 충수염이다. 1.2. 원인 급성 충수염의 주된 원인은 충수 내강의 폐쇄로 알려져 있다. 충수 내강의 폐쇄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분변돌(fecalith)의 형성, 충수의 ...2024.09.11
-
수술 마취종류 수술전 수술후2024.09.111. 수술 전 간호 1.1. 심리적 간호 수술 전 간호에서 심리적 간호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환자는 수술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수술 후 회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심리적 반응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첫째, 수술 과정에 대한 의사의 교육 내용을 재확인시킨다. 환자가 수술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준다. 이를 통해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 둘째, 환자의 불만을 인식하고 경청...2024.09.11
-
TKRA수술후관리2024.09.111. 서론 무릎관절은 하지의 가장 큰 관절 중 하나로서 우리 몸의 움직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무릎관절에 부상이나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 통증은 물론 활동 시 불편이 따르게 되며 이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이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활막 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한다. 우리나라는 노령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국내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는 골관절염(Osteoa...2024.09.11
-
핵심술기 통증관리 이론적 근거2024.09.181. 핵심술기 행위별 근거 1.1. 수술 전 간호 절차 수술 전 간호 절차는 감염 예방, 수술에 대한 이해 및 불안감 감소,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먼저 내과적 무균법에 따라 손씻기와 필요한 물품 준비를 한다. 그 후 개방형 질문을 통해 대상자를 확인하고 수술 동의서 작성에 대해 교육한다. 이때 수술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를 파악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수술 전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하고 필요 시 불안 간호를 실시한다. 특히 복식호흡 시행 전후 혈압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이는 수술 전 불안감 감소에 효...2024.09.18
-
자궁외임신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 징후 알려줘2024.09.171. 자궁선근증 1.1. 정의 자궁선근증이란 정상 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한다. 자궁선근증의 육안적 소견은 자궁의 크기가 약 60%에서 비대되어 있다.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하지만 임신 12주 이상의 크기는 보이지 않으며 자궁의 무게는 대개 80~120g이다. 1.2.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두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2024.09.17
-
nephroureterectomy2024.09.261. 서론 1.1. 신요관절제술(nephroureterectomy)의 정의 및 적응증 신요관절제술(nephroureterectomy)은 신장과 요관을 모두 절제하는 수술이다. 신장과 요관에 발생한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되며, 주로 신우암(renal pelvic cancer)이나 요관암(ureter cancer)의 치료에 사용된다. 신요관절제술은 신장과 요관이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한쪽의 암이 발생하면 다른 쪽으로 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시행된다. 수술 시 신장과 함께 신우 및 요관을 모두 절제하여 병변을 완전히 ...2024.09.26
-
제왕절개 간호과정2024.10.02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제왕절개 분만의 빈도는 지난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통계에 의하면 전체 분만의 31.5%를 차지하였으며, 1999년 하반기에는 39.2%에 이르렀다. 2001년도에는 40.5%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2004년도에 38.1%, 2006년도 36%로 매년 소폭의 감소를 보이고 있지만 2008년에는 다시 36.3%로 약간 상승하였다. 이렇게 제왕절개 수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주요 원인은 반복 수술의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율이 높아...2024.10.02
-
수술에 대한 불안과 관련된 심리적 안녕의 손상2024.09.211. 수술 간호의 개요 1.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환자가 수술을 받기 전에 제공되는 간호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준비뿐 아니라 법적 준비도 포함한다. 이 기간 중 특히 중요한 것은 환자에게 수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 주고 수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다. 건강력 사정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알레르기, 투약 및 약물남용, 한약이나 민간요법 복용, 사회적 지지, 기능 수준, 불안 수준, 과거 및 현재 병력, 심장 기능, 폐 기능, 콩팥 기능, 간 기능, 신경계 기능, 혈액학...2024.09.21
-
THR 간호2024.09.241. 인공고관절 전치환술(THR, THRA) 1.1. 고관절의 정의 고관절은 엉덩이뼈 관절로 골반골과 대퇴골을 연결하여 보행 등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게 하는 관절이다. 고관절은 소켓 모양의 골반골 비구와 볼 모양의 대퇴골 골두로 구성되어 있다. 양쪽 뼈 끝부분은 매끈한 연골로 덮혀져 있어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체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해 준다." 1.2.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정의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은 고관절을 이루는 구조물들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파괴되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에 시행하는 수술적 방법이다. 또한 운동...2024.09.24
-
복강경 수술에서 소독 간호사의 역할2024.09.241. 개요 1.1. 수술 전 간호사정 수술 전 간호사정은 환자의 건강상태와 수술을 위한 준비 정도를 사정하는 것이다. 수술 전 간호사정은 환자의 성명, 성별, 연령, 입원일, 진단명, 수술명, 수술 부위, 마취종류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와 수술을 위한 준비 정도를 사정하고, 수술 전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환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여 alert, drowsy, stupor, semicoma, coma 등의 상태를 확인한다. 수술 전 준비사항으로는 수술서약서 작성, 수술 전 ...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