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만성신부전 간호과정2024.11.071. 서론 최근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대략 13%, 즉 7~8명 당 1명은 만성신부전을 가지고 있다. 만성신부전의 위험인자로는 당뇨, 고혈압, 비만, 고령 등이 있으며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이, 고혈압 환자 10명 중 2명이 만성신부전에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어진다. 따라서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는 만성신부전의 예비군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신부전 환자는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생각되어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2. 만성 신부전 2.1. 정의 만성 신부전은 콩팥...2024.11.07
-
아동간호학 소화계 호흡계 심혈관계 혈액계 고위험 신생아 탐구보고서2025.03.201. 아동간호학 소화계 호흡계 심혈관계 혈액계 고위험 신생아 탐구보고서 1.1. 소화계 1.1.1. 수분전해질 불균형과 관련한 아동과 성인의 생리적 차이 수분전해질 불균형과 관련한 아동과 성인의 생리적 차이이다. 아동은 성인에 비해 총 체액량이 많고, 세포외액의 비율이 높으며, 전해질 구성에서 나트륨과 염소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전해질 불균형이 오기 쉽다. 또한 아동은 체중 대비 수분 요구량이 많고 수분 보유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탈수 위험이 높다. 그리고 체온이 높고 호흡수가 빨라 불감성 수분 소실이 많으며, 체표면...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