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일반화학실험 반응속도론2024.11.041. 화학 반응 속도론 1.1. 반응 속도(reaction rate) 화학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물은 소모되고 생성물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반응의 진행 정도는 반응물의 농도 감소 또는 생성물의 농도 증가를 측정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진행 정도를 반응 속도(reaction rate)라고 한다. 반응 속도는 일반적으로 단위시간 동안 감소한 반응물의 농도 또는 증가한 생성물의 농도로 나타낸다. 즉, 반응 속도(v)는 {반응물질의 농도 감소량} 나누기 {반응 시간}, 또는 {생성물질의 농도 증가량} 나누기 {반응 시간}으로...2024.11.04
-
시계반응 결과보고서2024.10.211. 요약 이번 실험에서는 시계 반응을 이용해서 반응 속도 차이가 큰 반응 단계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특성을 알아보고, 화학반응 속도에 미치는 농도의 영향을 이해하며 반응속도 상수 및 반응 차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KCl, KI, (NH4)2SO4, Na2S2O3•5H2O, 녹말, Hg(Cl)2이며, 실험 기구는 삼각 플라스크, 부피 플라스크, 교반 자석, 온도계, 피펫, 필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속도 상수는 12.366015625, 반응 차수 m=1.1, n=1.5의 값을 얻었다. 2. ...2024.10.21
-
란돌트반응2024.10.251. 화학 반응 속도 1.1. 반응 속도의 개념 반응 속도는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말한다. 쇠가 녹스는 반응과 같이 몇 년이 걸리는 느린 반응부터 부탄이 연소되는 반응과 같이 단 몇 초 만에 일어나는 빠른 반응까지 화학 반응마다 다양한 속도로 진행된다. 이처럼 반응 속도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단위 시간당 반응물의 농도 변화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반응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반응이 멈출 정도의 온도로 급랭하는 방법과 특정 파장의 빛을 쪼여 흡수되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반응 속도에 큰 영향을 미...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