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전실화재2024.09.141. 실내화재의 특성 1.1.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 1.1.1. 발화단계 내화조건물은 목조건물에 비해서 기밀성이 좋으며, 개구부가 닫혀 있어 산소공급이 없이 출화해도 실내에 있는 산소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가 감소함에 따라 화점부근에서 그다지 확대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시기에는 불완전 연소로 인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여 실내에 충만하게 된다. 그 후 화열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결국은 창유리 기타 불안전한 곳을 파괴하게 된다. 1.1.2. 성장단계 성장단계는 창유리 등의 파괴와 문이 열려 ...2024.09.14
-
위험물기능사2025.01.191. 위험물기능사 개요 1.1. 위험물의 정의 및 분류 위험물이란 인화성 또는 발화성이 있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질이다. 위험물은 총 6개의 분류로 이루어져 있다.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로, 가연성 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고체로, 낮은 온도에서 쉽게 발화할 수 있는 고체 물질이다. 제3류 위험물은 물과 접촉하거나 대기 중 수분과 접촉할 경우 발열 또는 발화할 수 있는 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이다.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로, 인화점이...2025.01.19
-
위험물기능사2025.02.071. 위험물기능사 위험물이란 대통령령이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질이다. 위험물은 제1류부터 제6류까지 6개의 류로 분류된다.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이며,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고체이다. 제3류 위험물은 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이고,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이다. 제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성 물질이며,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이다. 각 류별 위험물은 그 위험성에 따라 지정수량이 규정되어 있는데, 지정수량이 작을수록 위험도가 높다. 2품명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 각 품명의 지정수량과 저장수량 비율을 합...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