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소화기계 해부생리2024.09.18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조 1.1.1. 소화관의 구성 소화관은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약 9m의 관으로,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장막층의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층은 상피세포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효소와 점액을 분비하는 선을 가지고 있다. 점막하조직은 소화관 벽을 지지하고 혈관, 림프관,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근육층은 내측의 윤상근과 외측의 종주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화관의 운동을 담당한다. 장막층은 소화관의 바깥층으로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2024.09.18
-
Colostomy2024.10.041. 소화기관의 구조 1.1. 소화관 소화관은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된 긴 관으로 몸에 수분 및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입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은 식도, 위를 거쳐 소장으로 보내진다. 소장은 가늘지만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대부분의 소화가 이 곳에서 이루어진다. 소장을 지난 음식물은 대장으로 이동하며 대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 결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에서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대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에 이어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마지막 ...2024.10.04
-
인체구조와기능2024.10.111. 인체구성과 기능 1.1. 신경계통 1.1.1.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신경세포(neuron)는 신경계통에서 정보 전달의 주체이다. 신경세포는 세포체(cell body), 수상돌기(dendrite), 축삭(axon) 등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체는 뉴런을 조정하는 센터이며 핵을 포함하고 있어 유전적 조절을 할 수 있다.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부분으로, 뉴런에 따라 하나의 수상돌기만 있을 수도 있고 수천 개의 수상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축삭은 뉴런이 다른 세포에 보내는 신호의 출력 경로이며, 축삭소구...2024.10.11
-
크론병 간호진단2024.11.081. 크론병의 이해 1.1. 정의 크론병은 입에서부터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는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원인 불명의 염증성 질환이다." 1.2. 병태생리 크론병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크론병은 1932년 미국의 소화기학자 Crohn에 의해 처음 보고된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크론병은 위장관 전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성적인 염증 상태를 말한다. 크론병의 병변은 비지속적이며 만성 염증이 구강부터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복통, 설사, 체중감소와 피로 등의 ...2024.11.08
-
수문사 인체구조와기능2024.10.121. 인체의 구성 1.1. 근육조직 근육조직은 반응성, 전도성, 수축성, 신전성, 탄력성의 5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응성은 화학적 신호나 신전과 같은 자극에 반응하여 형질막을 통해 전기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전도성은 국소적인 전기적 변화가 축삭을 따라 급속도로 전달되어 수축을 유발하는 과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수축성은 자극을 받을 때 실제로 짧아지는 고유의 능력이며, 이를 통해 뼈나 다른 기관을 잡아당겨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신전성은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근육세포가 신전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징이다...2024.10.12
-
크론병2024.11.251. 크론병의 개요 1.1. 정의 크론병은 국소성 회장염이라고도 하며 궤양성 대장염과는 달리 소화기관의 어느 분절에서나 불연속적으로 생길 수 있는 만성적이며 재발성인 질환이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회장의 말단 부위이며 이환된 장의 점막 밑 조직이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20대에 많이 발생하며 남녀 발생률은 거의 같다. 1.2. 원인 1.2.1. 유전적 인자 유전적 인자는 크론병 발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크론병과 궤양성 결장염에 관한 연구』(덴마크, 1991)에 따르면, 크론병 환자의 친척들이 이 질환에...2024.11.25
-
플라나리아2024.08.131. 플라나리아 관찰 및 재생 과정 1.1. 플라나리아의 특징 플라나리아는 일반적으로 편형동물의 와충류를 말하며, 유럽에는 플라나리아속에 Planaria torva, P. dactyligera 등 몇 종이 있다. 플라나리아과에 속하는 종류는 모두 민물에서 나며, 하천이나 호수의 바닥 및 수생식물이나 돌 위 등을 기어다닌다. 몸길이는 1∼3cm이다. 몸은 편평하고 길쭉하며, 몸의 앞면과 뒷면, 등과 배의 표면, 왼쪽과 오른쪽이 같은 좌우대칭형이다. 이러한 몸의 형태로 인하여 활동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몸 표면은 섬모로 덮여 있으며 ...2024.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