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복부와 위장관계 건강사정2024.11.17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식도 1.1.1. 구강 구강은 연구개, 경구개, 혀, 치아, 치은, 구강점막으로 구성되며, 저작과 타액 분비의 기능을 담당한다. 먼저 연구개와 경구개는 구강 천장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혀는 미각을 담당하며 음식 덩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아와 치은은 저작 기능을 수행하며, 구강점막은 미각과 경감각을 담당한다. 구강의 타액 분비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음식물의 소화를 시작하는 역할을 한다. 타액은 구강 내 pH를 조절하고, 구강 점막을 습윤...2024.11.17
-
장염 부모교육2024.09.021. 장염이란? 1.1. 세균성 장염 세균성 장염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장관 감염 질환이다. 주로 식중독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거나 균에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어 감염된다. 대표적인 세균성 장염의 원인균으로는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균, 시겔라균, 캄필로박터균 등이 있다. 병원성대장균은 장관독소를 생성하여 장관 점막을 자극하여 설사와 복통을 유발한다. 살모넬라균은 주로 오염된 가금류나 계란을 통해 전파되며 주 증상은 설사와 발열이다. 시겔라균은 인체 내에서 직접 장상피세포를 침범하여 염증과 궤양을 일으켜 혈성 설사를 유발한...2024.09.02
-
행동체계이론2024.10.021. 체계이론과 행동체계이론 1.1. 체계 행동규칙과 체계 내의 긴장상태 1.1.1. 체계 행동규칙 모든 살아 있는 체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복적인 상호작용 패턴을 발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 상호작용 패턴을 체계 행동규칙(system rules)이라고 한다. 이것은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체계들 간의 반복적, 일상적 상호작용 행위를 말하는데 모든 사람이 인식하고 이해하는 명시적인 규칙이기보다는 암묵적이고, 불문적인 규칙이다. 이 규칙은 간접적으로 표현 또는 유추되고, 오랜 시간을 두고 되풀이하며 외부의 특별한 간섭이...2024.10.02
-
수분과 영양소의 상호작용 설명2025.02.201. 서론 1.1. 수분의 중요성 수분은 우리가 섭취하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다. 수분은 다른 모든 영양소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들은 모두 수분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며,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이들 영양소의 흡수와 대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분은 소화 과정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분해를 돕고, 지방의 운반과 흡수에 관여한다. 또한 비타민과 미네랄의 용해와 이동에 필수적이며, 영양소의 대사 과정과 노폐물 배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분 부족은 이러...2025.02.20
-
소화계통 이질2024.09.081. 위장관계의 구조와 기능 1.1. 위장관계의 구조 1.1.1. 구강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로서 미각을 느끼는 수용체들이 있다. 구강의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로 이루어져 있고 촉부는 뺨의 안쪽이 된다. 저부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이하선이 가장 크다. 이 구조들은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혀에는 미뢰를 포함하는 유두라는 작은 돌기가 있다. 구강은 저작과 타액에 의해 부드러워진 음식물을 식괴라 하며 식괴가 인두로부터 식도를 거쳐 위에 들어가는 과정을 연하라 한다. 타액은 타액선에서 분비되...2024.09.08
-
종양지표2024.09.09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Oral cavity)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Oral cavity) 안의 구조로는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개의 사랑니, 구강상부의 연구개(soft palate)와 경구개(hard palate), 구강바닥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sublingual gland), 악하선(submandibular gland), 이하선(parotid gland)이 있다. 침(타액)은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으로 하루 1,000~1,500ml가 분비되며, pH...2024.09.09
-
장폐색 간호진단2025.03.041. 서론 1.1. 장폐색의 정의와 특성 장폐색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날문에서 곧창자까지 어느 부위에서나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장폐색은 소장에서 발생하고 약 15%가량이 대장에서 발생한다. 장폐색에는 어떤 원인에 의해 장 내용물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계적 장폐색과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마비성 장폐색이 있다. 기계적 장폐색의 주된 원인은 복부 수술 후 발생하는 복부 유착이며, 마비성 장폐색은 신경근...2025.03.04
-
성인간호학 위장관장애 대상자 간호,염증과 면역반응,구강과식도장애,위장장애, 소장과대장장애,간경화 간암 간이식,간,담낭,췌장 구조와 기능,영양장애2024.12.06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와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로 구성되어 있다.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그리고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이하선, 악하선이 있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한 작은 돌기인 유두가 있다. 정상적으로 침샘에는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 등에 반응하여 타액이 분비된다. 타액은 신경의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에 의해 분비되며, 타액반사의 중추는 연수에 있다.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녹이므로 타액이 감소하거나 ...2024.12.06
-
영양소의 종류와 작용2024.09.041. 영양소의 이해 1.1. 5대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1.1.1. 단백질 단백질은 신체 구성의 주요 성분으로서 칼로리원이 되며, 약 20여종의 아미노산이 여러 가지 비율로 결합되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성인이 되면 성장이 중지되나 체성분은 계속 분해되므로 분해된 정도만큼 보충되어져야 하며, 성장 중인 소아에게는 발육원으로서 절대 필요한 영양소이다. 단백질의 영양가는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르며, 동물체내에서 합성이 가능한 것이 있고(불필수 아미노산, non-essential ammo aci...2024.09.04
-
음식의 과학2024.09.251. 음식의 역사와 변화 1.1. 음식의 발달과 퓨전음식의 등장 음식의 발달과 퓨전음식의 등장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수렵·채집 생활로 인해 충분한 식량을 구하지 못했지만 신석기 시대에 접어들며 농경 생활을 시작하면서 잉여 식량이 생기고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식량 저장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열을 가하는 조리 방법이 발달하고 자연의 재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음식문화는 각 지역의 문화와 민족문화와 함께 복잡해지며 발달해 왔다. 20세기 무렵, 음식의 발달사는 퓨전음식이라는 새로운 식...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