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체액부족2024.10.021. 출혈과 관련된 체액 부족 1.1. 출혈의 증상 및 양상 관찰 출혈의 증상 및 양상 관찰은 대상자의 혈역학적 안정성을 확인하고 체액부족을 사정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환자는 토혈, 혈변, 어지러움증 등의 주관적 증상을 호소하였으며, 객관적으로 활력징후 저하, 피부 및 점막의 건조함, 입술 균열, 눈 밑 어두움, 구토물의 커피색 등의 탈수 징후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혈액검사 결과, 혈색소, 헤마토크릿, 혈소판 수치가 정상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혈액응고 검사에서 PT지연, 혈액생화학 검사에서 알부민 감소와 BUN, 크레아티닌 증가...2024.10.02
-
신전성급성신부전2024.11.111.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 1.1. 정의 급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급성 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5%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에서 발생한다. 급성 신부전의 특징은 신장의 여과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지만, 원인이 해결되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회복 가능한 상태라는 것이 만성 ...2024.11.11
-
중환자실실습일지2025.02.101. 중환자실실습일지 1.1. 실습 배경 및 소감 중환자실 실습은 이전에 경험한 병동 실습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병동에서는 간호사 1명당 많은 환자를 담당하여 각 환자에 대한 세부적인 케어와 관찰이 어려웠으나, 중환자실에서는 간호사 1명당 적은 수의 환자를 담당하여 환자 상태를 보다 면밀히 관찰하고 집중적으로 간호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일반 병동과는 달리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의식이 없거나 극도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처음 중환자실에 들어갔을 때는 익...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