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안전운전절차 작성 지침2024.10.291. 환경, 보건 및 안전 운영 관리 1.1. 적용 범위 본 규정은 당사의 중대한 환경측면, EHS방침, EHS목표 및 세부목표에 관련이 있는 운영 및 활동에 대한 업무원칙 및 책임과 권한, 업무절차에 대하여 규정한다.""이다.본 규정의 적용범위는 당사의 생산 및 서비스에 이르는 활동 중 환경 및 안전보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특성을 정기적으로 감시 및 관리, 개선을 통하여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회사의 EHS 경영방침과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며, 전 부서에 ...2024.10.29
-
특급소방 2차2024.09.061. 산불 화재 사례 정리 1.1.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 한국 산불은 산림 안에 있는 가연물질이 산소와 열이 만나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한다. 한국의 지형 특성상 산악지대가 많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온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의 경우 산간지대가 많아 봄철에 많은 산불이 발생한다. 영동지역은 고온건조하고 강한 양간지풍으로 인해 대형산불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 30년간의 기록을 보면 건조주의보의 발령 기준이 되는 ...2024.09.06
-
소방안전원 3급2025.02.211. 서론 1.1. 소방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 소방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은 화재 예방과 소방시설 관리를 통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방교육 및 훈련은 필수적이다. 소방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소방안전관리자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방시설 점검 및 관리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소방교육 및 훈련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2. 소방안전관리자의 역...2025.02.21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2차2024.09.091. 소방안전관리자 및 보조자 선임 기준 1.1.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는 다음과 같다.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5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아파트, 30층 이상(지하층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연면적 20만㎡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이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3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아파트, 연면적 15,000㎡ 이상인 특정소방...2024.09.09
-
소방기술사2025.03.191. 서론 1.1. 소방기술사의 개념과 필요성 소방기술사는 화재 예방 및 소방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공인된 기술 인력이다. 소방기술사는 인명과 재산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소방시설의 설계, 시공, 점검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핵심 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소방기술사의 필요성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복잡화・대형화되는 건축물과 산업시설의 증가로 인해 화재 예방과 대응에 더욱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소방시설의 설치와 관리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되면...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