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안전운전절차 작성 지침2024.10.291. 환경, 보건 및 안전 운영 관리 1.1. 적용 범위 본 규정은 당사의 중대한 환경측면, EHS방침, EHS목표 및 세부목표에 관련이 있는 운영 및 활동에 대한 업무원칙 및 책임과 권한, 업무절차에 대하여 규정한다.""이다.본 규정의 적용범위는 당사의 생산 및 서비스에 이르는 활동 중 환경 및 안전보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특성을 정기적으로 감시 및 관리, 개선을 통하여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회사의 EHS 경영방침과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며, 전 부서에 ...2024.10.29
-
특급소방 2차2024.09.061. 산불 화재 사례 정리 1.1.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 한국 산불은 산림 안에 있는 가연물질이 산소와 열이 만나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한다. 한국의 지형 특성상 산악지대가 많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온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의 경우 산간지대가 많아 봄철에 많은 산불이 발생한다. 영동지역은 고온건조하고 강한 양간지풍으로 인해 대형산불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 30년간의 기록을 보면 건조주의보의 발령 기준이 되는 ...2024.09.06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2차2024.09.091. 소방안전관리자 및 보조자 선임 기준 1.1.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는 다음과 같다.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5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아파트, 30층 이상(지하층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연면적 20만㎡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이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3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아파트, 연면적 15,000㎡ 이상인 특정소방...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