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자외선 조사 멸균법의 중요성과 활용2024.10.051. 미용 기구의 위생관리와 멸균 1.1. 자외선 조사를 통한 미생물 제거 자외선 조사란 파장이 짧아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을 살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대상물은 용기, 각종 기구, 식품, 물, 공기 등이 있다. 자외선 조사는 무균실, 수술실, 제약사, 육아실, 미용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높은 살균 효과와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해 인기가 높다. 미용 서비스 현장에서는 소독과 멸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자외선 조사는 미생물 제거 효과가 뛰어나고 물질 표면에...2024.10.05
-
병원성 미생물감염과 안전관리에 대하여2024.10.301. 병원감염 및 감염관리 1.1. 병원감염의 개념과 사례 병원감염(hospital infection)이란 원내감염이라고도 하며 감염원(感染源)과 피감염원(被感染源)이 동거하고 있는 상태인 병원에서의 감염을 특히 병원감염이라고 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감염원은 환자 자신이 보유한 균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는 것이고, 외인성 감염원은 환자 외부에 있는 균으로 의료종사자나 병원환경이 문제가 되는 경우이다. 병원감염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2018년 5월 서울 강남의 한 피부과...2024.10.30
-
병원성미생물감염과안전관리2024.11.251. 병원성 미생물과 감염관리 1.1. 병원성 미생물의 개념과 종류 1.1.1. 병원성 미생물의 정의 병원성 미생물이란 인간에게 심각한 감염성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이들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동물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며, 인체 내에 침입하여 건강 문제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개인의 경우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이 상당한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근본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의 정의는 인간에게 해롭고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2024.11.25
-
한방병원에서2024.12.071. 한방 서비스 규정 1.1. 목적 목적은 한방 시술을 안전하게 수행함과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화상 및 이상반응 등의 위험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관련 장비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한방 서비스 제공 시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자 하는 목적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방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들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의료기기의 위생적 관리를 통해 감염 예방에 힘쓰고자 함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한방 의료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2024.12.07
-
미생물학 정리2024.10.171. 미생물과 미생물학 1.1. 세균의 일반적인 성질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물·토양을 비롯한 모든 환경에 존재한다. 세균의 형태는 알, 막대, 사슬, 나선 모양 비브리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배열은 축, 쌍에 따라 분류되며 집락화 방식에 따라서도 분류될 수 있다. 세균은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모두에서 표면 부속지가 존재한다. 원핵세포는 선모와 편모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진핵세포는 섬모, 편모 그리고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다. 표면부속지의 기능은 이동, 부착, 흡수 그리고 감각수용이 포함된다. 세균은 편모의 추진력에 의해 이동하...2024.10.17
-
2025 간호조무사2025.02.101. 간호조무사의 직무 1.1.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책임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책임이다. 간호조무사는 의사의 지도하에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간호조무사의 주요 책임에는 환자의 건강 상태 관찰, 응급상황 대처, 의사의 처방에 따른 투약 및 처치 수행, 치료 보조 업무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간호조무사는 환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병실 관리, 개인위생 돌봄, 식사 보조 등의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처럼 간호조무사는 의사와 함께 환자 간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2. 간호조무사의 기본 업...2025.02.10
-
2025간호조무사2025.02.101.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기초지식 1.1. 구강생리학 치아의 형성시기는 유치와 영구치로 구분된다. 유치는 태생 후 7~8주부터 형성되어 2세반(30개월)이면 유치 20개가 완성된다. 영구치는 태생 후 20주부터 형성되어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치아가 15~16세에 석회화가 종료된다. 치아가 치육을 뚫고 구강 내에 출현하는 것을 맹출이라 하며, 젖니(유치)와 영구치가 바뀌어 나는 것을 치아의 교환이라 한다. 유치와 영구치가 제일 먼저 교환되는 것은 하악유중절치이며, 유치에서 영구치로 교환되는 시기는 6~7세 때이다. 영구치 중...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