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개
-
조혈모세포이식과정2024.09.151. 조혈모세포 이식의 개요 1.1. 정의 조혈모세포 이식이란 환자의 골수를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과 전신 방사선 조사로 파괴한 후 환자의 인간백혈구항원(HLA)에 맞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생착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다발성골수종, 난소암, 고환암, 면역결핍 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다. 1.2. 종류 1.2.1.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항암화학요법 후 완전 관해가 되어 혈액에 암세포가 보이지 않을 때, 자신의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냉동 보관했다가 고용량 항암화...2024.09.15
-
중앙공급실 업무분석2024.09.161. 중앙공급실 개요 1.1. 중앙공급실의 정의와 역할 중앙공급실은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과 치료, 감염 예방을 위해 필요한 의료 기구, 소모품, 린넨 등의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관리하여 각 부서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서이다." 1.2. 중앙공급실의 업무 중앙공급실의 업무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멸균 처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앙공급실은 수거, 불출, 세척, 멸균, 병실·수술장 세트 포장, 접기...2024.09.16
-
드레싱의 종류와 적용2024.09.211. 상처 관리 1.1. 상처의 정의 및 분류 상처(wound)는 피부와 조직의 통합성에 생긴 모든 변형, 즉 피부와 조직층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관련된 기관에 대해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시작되는 병리적 과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의 파괴로 정의할 수 있다. 상처의 종류는 크게 피부 표면의 파열 유무에 따라 개방성 상처(open wound)와 폐쇄성 상처(closed wound)로 구분된다. 개방성 상처는 피부나 점막에 손상이 있는 상처로, 외과적 절개, 총상 등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상처가...2024.09.21
-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배액관의 종류와 사용법2024.09.19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1.1. 구역관리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는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제한구역, 준 제한 구역, 허용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에 따라 착용해야 할 복장이 다르다" 제한구역은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실, 수술실 복도 등이며, 이 구역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해야 한다. 준 제한 구역은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실 등이고 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2024.09.19
-
소독과멸균2024.09.121. 소독과 멸균의 원리 1.1. 용어 정의 소독이란 세균의 아포(spore)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멸균이란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세척이란 오염물, 유기물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물과 기계적인 마찰, 세제를 같이 이용한다. 소독제는 살균제의 일종으로, 무생물의 표면에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을 불활성화시키지만 세균의 아포에는 작용하지 못한다. 화학멸균제는 아포를 포함한 곰팡이와 세균의 모든 미생물의 생활력을 파괴하기 위해 사...2024.09.12
-
소독(살균) 기전 및 소독법을 분류하고, 소독 시 고려할 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해 서술하시오2024.10.051. 소독 및 멸균의 원리와 방법 1.1. 소독(disinfection)의 개념과 원리 소독(disinfection)은 병원균의 감염력을 제거하거나 상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이다. 소독은 병원체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보통 소독은 높은 수준의 살균작용을 통해 달성되지만, 병원균의 아포에 대한 살균효과는 제한적이다. 소독의 기전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응고시켜 병원균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다. 둘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2024.10.05
-
병원 미생물학 정리2024.09.281. 미생물학 개요 1.1. 병원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은 '미생물(micro=small;bios=living;-logy=study)'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이 포함된다. 이들 미생물들은 단순한 구조와 신속한 증식력,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놀라운 적응력...2024.09.28
-
소독(살균) 기전 및 소독법을 분류하고, 소독시 고려할 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해 서술하시오2024.09.161. 소독 및 멸균의 개요 1.1. 소독(Disinfection)과 멸균(Sterilization) 정의 소독(Disinfection)은 병원균의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병원균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소독은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않지만, 일부 병원성 미생물의 수를 현저히 줄여 감염의 위험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멸균(Sterilization)은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아포를 완전히 사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멸균을 통해 모든 생물학적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무균 상태를 만들어낸다...2024.09.16
-
성인 지침서2024.09.211. 수술실 실습 1.1. Time out의 방법 및 중요성 "수술실에서 환자 확인의 마지막 단계로 '타임 아웃'을 시행하여 '정확한 수술환자, 정확한 수술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여 오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Time out 방법은 ① 환자 확인을 하였는가? (수술동의서, 수술스케쥴, ID band) ② 등록번호, 환자명, 수술명, 수술부위 및 표지를 확인하였는가? ③ 영상자료와 의무기록 확인하였는가? (영상자료 dis/play여부 확인) ④ 수술에 필요한 장비, 기구가 멸균 및 준비 되었는가? ⑤ 수술 중 발생 가능한 ...2024.09.21
-
봉합사종류2024.11.011. 봉합사 1.1. 봉합사의 정의 봉합사란 수술이나 외상으로 조직에 결손이 생겼을 때 창상면을 꿰매어 치유를 촉진시키는 데 사용되는 실을 말한다. 수술의 기본은 출혈의 조절과 상처를 봉합하는 것이며, 수술에 사용되는 봉합사는 혈관을 묶거나 조직을 결찰할 수 있는 일련의 재료를 의미한다. 봉합사의 생화학적인 성질, 환자조직의 회복기간에 따라 봉합사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1.2.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이상적인 봉합사는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다루기가 용이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또한 최소한의 조직반응을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