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세포배양 기초2024.10.231. 세포 배양 실험 1.1. 실험 목적 세포 배양 실험의 목적은 세포 배양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주기와 세포배양법을 익히는 것이다. 세포 배양이란 생물의 조직이나 기관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적당한 배양액 속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세포의 성장단계와 세포배양에 필요한 조건들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세포수 계산 방법과 시딩 방법을 실습하면서 세포 배양 기술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1.2.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이란 생물의 조직이나 기관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적당한 배양액 속에서 생육시키는 ...2024.10.23
-
cell culture2024.09.261. 세포 배양 개요 1.1. 세포 배양의 정의와 특징 세포 배양은 생물체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실험실의 특수한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기르고 증식시키는 것이다. 이는 세포의 원래 특성을 유지하며 살아있는 상태로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 배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실 환경에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생체 내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세포의 생리, 대사, 증식 등의 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 둘째, 배양된 세포는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실험 및 응용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세포 자원을 제...2024.09.26
-
완충용액 K2HPO42024.09.191. 완충 용액의 개요 1.1. 완충 용액의 정의 및 특성 완충 용액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완충 용액은 용액에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pH의 변화가 적은 용액이다. 완충 용액은 약산과 그 염 또는 약염기와 그 염을 포함하고 있어, 용액에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용액의 pH가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완충 용액은 pH 변화에 저항하는 용액체계로, 산이나 염기를 첨가해도 pH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용액이다. 완충 용액은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C...2024.09.19
-
동물간호 관련 확률과 통계2024.10.161. 동물실험의 문제점과 대안 1.1. 동물실험의 개념과 현황 동물실험이란 교육, 시험, 연구 및 생물학적 제재의 생산 등 의생명과학을 비롯한 과학과 공학적 목적을 위하여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그 절차를 말한다. 실험동물은 원생동물부터 포유류까지 포함되며 야생인 것을 포획하거나 채취하여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실험목적에 맞도록 생산되어 유전적으로 규제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국내 실험동물 사용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1,004만7,782마리의 동물이 실험에 이용 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2024.10.16
-
세포배양 실험방법2024.08.211. 서론 1.1. 세포생물학의 개념과 중요성 세포생물학은 생명체의 기본 구성 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세포의 구성성분과 세포의 생물학적 작동 매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가 된다. 세포생물학은 분자생물학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에도 필수적인 학문이다. 의학 연구에서 세포생물학은 세포가 어떻게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연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상적인 기능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가 되어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과정에서도 도움이 된다. 이를 이해해야...2024.08.21
-
hemocytometer의 사용법과 이를 이용한 세포 수 계산법2024.10.021. 세포 배양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일정량의 세포 부유액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부유액에 있는 세포 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단위 부피당 세포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이란 동물이나 식물로부터 채취한 세포를 인위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세포배양은 모든 세포생물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실험 방법이다. 세포배양은 다세포 생물의 세포를 기본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으로, 단세포 생물과 달리 세포 증식을...2024.10.02
-
주요 생명공학 기술2025.04.041. 서론 1.1. 주요 생명공학 기술의 개요 생명공학은 생물체나 생물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거나 생물체를 개량하는 기술이다.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1944년 유전자의 성분이 DNA라는 것이 밝혀졌고,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되면서 생명공학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이 규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환경운동 등의 여파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감소하면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후 유전공학 기업들이 급속히...2025.04.04
-
생화학실습2025.04.051. 생화학실습 1.1. 10 plasmid DNA의 분리 플라스미드 DNA 분리법은 박테리아 DNA를 분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이 방법에는 세 단계가 있다. 첫째,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대량 배양한다. 둘째, 박테리아를 용해시켜 순수한 DNA를 회수한다. 셋째, 단백질, 탄수화물, RNA, 박테리아 DNA를 제거하고 순수한 플라스미드를 분리한다. 이때 알칼리 조건에서 박테리아 DNA는 변성되어 침전되지만 플라스미드 DNA는 꼬인 고무줄 모양을 유지하여 변성이 작게 일어난다. 플라스미드 DNA 분리에는 세...2025.04.05
-
생세포 cell counting2024.09.191. 세포 계수 및 배양 1.1. 세포 계수 1.1.1. 혈구계산기(Hemocytometer)의 구조와 원리 혈구계산기(Hemocytometer)는 세포 수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혈구계산기는 정사각형 모양의 격자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격자 구조에 세포 현탁액을 주입하여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고 계수할 수 있다. 혈구계산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혈구계산기에는 두 개의 챔버가 있으며, 각 챔버는 9개의 큰 정사각형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9개의 큰 정사각형 영역은 다시 16개의 작은 정사각형 영역으로 나누어...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