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임상병리사 혈액2024.10.0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및 분야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임상병리검사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즉, 기초과학과 기초의학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고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2024.10.01
-
세포배양 실험2024.08.211. 서론 1.1. 세포배양의 기초와 배경 세포배양의 기초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생물체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는 것을 세포배양이라고 한다. 세포배양을 통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다. 식물에서는 캘러스(유합조직)의 일부를 액체배양하거나 동식물의 종양 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흔한데, 이렇게 배양된 세포군은 경우에 따라 하나의 개체로 성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F.C.스튜워드는 당근의 1개 세포를 배양하여 완전한 당근 개체를 얻었고, W.R.튜레크는 은행나무 화분을 세포배양하여 수...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