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교회사 안인섭2024.10.261. 서론 1.1. 종교개혁 연구의 배경 종교개혁 연구의 배경은 중세 말의 사상적, 역사적 환경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종교개혁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진행되고 있다. 종교개혁은 단순히 과거에 있었던 사건이 아니라 현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세 말기의 상황은 종교개혁의 중요한 배경이 된다. 중세 말기는 신학적, 사상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던 시기였다. 스콜라 철학과 인문주의가 대두되면서 기존의 체제에 대한 문제제기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종교개혁이 가능했던 것이다. 또한 ...2024.10.26
-
마태복음에 기록된 하나님의 나라(천국)와 상령님의 역사에 관하여2025.03.20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마태복음을 통해서 신약의 선교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마태복음을 통해 본 선교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임박한 마지막 날의 기대 속에서 선교라는 측면이 강하다. 예수님께서는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시더라."(마 4:17)라고 하는 부분에서 선교가 하나님 나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예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모든 동네를 다 다니지 못하여서 인자가 오리라."(마 10:23)라고 말하여 임박한 마지막 날과 연관하여 말씀하셨다. 첫째, 우리는 숲을 보고 나무를 보...2025.03.20
-
풍성한 삶으로의 초대2024.10.101.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기 1.1.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영성 생활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제자가 되지 않아도 영원히 그리스도인으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이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불러 모으셨고, 그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삶을 가르치셨다. 제자도는 단순히 예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자도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나라의 삶에 대한...2024.10.10
-
주일대표기도2024.11.101. 예배학 카페 1.1. 들어가는 말 조기연 교수의 '묻고 답하는 예배학 Cafe'는 나에게 까마듯했던 예배와 그 궁금증에 대해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해 주었다. 기준없이 모호했던 예배에 관한 의문들을 해소해 주는 교회의 모든 신자들과 특히 목회자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담고 있다. 성경적인 관점과 교회사적인 측면에서 한국교회의 예배에 대한 바이블과 같은 도서이다. 기독교인들에게는 예배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본서는 예배의 습관 속에 젖어 아무 생각없이 예배하는 우리 자신들을 돌아보게 하고, 예배에 대해서 더 진지한 태도를 갖게끔 ...2024.11.10
-
밀라드의 교회론2024.10.301. 교회론 1.1. 교회의 본질 1.1.1. 교회의 기본적 의미 신약성경에서 '교회'로 번역된 헬라어는 에클레시아(ekkl?sia)인데, 이는 고전 헬라어(classical Greek)에서는 한 도시의 시민들의 모임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와 가장 가까운 의미의 구약성경 용어는 카할(g?h?l)인데, 이는 모임의 구성원들을 가리키기보다는 모이는 행위를 지칭하는 말이다. 교회라는 용어는 모임과 모이는 행위 모두를 가리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교회'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모든 시대, 모든 ...2024.10.30
-
마가복음12장 설명2025.03.271.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1.1. 세례와 유혹 예수님께서는 세례 요한에 의해 세례를 받으셨다. 세례를 받으신 후 예수님께서는 하늘이 갈라지고 성령이 비둘기같이 내려오시는 것을 보셨다. 또한 하늘로부터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하는 소리를 들으셨다. 이를 통해 예수님께서는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정체성을 확인하셨다. 이후 예수님께서는 성령에 이끌려 광야로 가셨고, 사탄에게 시험을 받으셨다. 사탄은 예수님께 돌을 빵으로 만들게 하고, 천사들을 보여줌으로써 자신을 증명하라고 유혹했다. 또한 세상의 영광을...2025.03.27
-
교단별 장로 예식서2025.04.011. 교단별 장로 예식서 1.1. 서론 세례는 교회가 생겨난 이래 변함없이 이어져온 성례이다. 이 성례는 종교개혁의 숱한 논쟁 가운데서도 거부되거나 수정되지 않은 채 예배 속에 그대로 지속되어 온 특유한 순서이다. 그러나 역사가 이어져 오는 동안 한국교회 안에서는 굉장히 많은 교단이 생겨나게 되었고, 각 교단별로 예배와 예식을 달리하고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본래 하나에서 출발했지만 다양해진 세례 성례전에 대해 한국의 몇 군데 개신교단의 내용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한국교회는 다른 교단의 세례를 인정한다. 일부 목회자들이 이단이라...2025.04.01
-
방주교회2024.09.131. 교회론 1.1. 칼 바르트의 교회론 1.1.1. 교회의 본질 바르트는 교회의 본질에 관하여 새로운 기초를 세웠다. 바르트는 교회를 "사건"(Ereignis)으로 본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 인간은 그 말씀을 듣는 사건이 일어나는 그곳이 바로 교회이다. 이는 교회를 제도나 건물, 장소가 아닌 "사건"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교회 개념에 큰 충격을 주었다. 에밀 부룬너의 말씀의 사건 개념을 받아들인 호켄다익은 교회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며 고정된 장소가 없고 나그네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교회를 제도나 건...2024.09.13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루터의 3대 논문 요약 및 분석2024.09.21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6세기는 전면적인 사회적, 경제적 변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시대이다. 중세 유럽이 재편성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생활모습의 모체가 된 이 시기에는 기존의 종교적인 체제가 파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세속적인 면도 크게 변하였다. 이 시대는 역동적인 민족주의가 일어나서 5세기 이래 모든 기독교국을 지배하고 있던 대제국이 분단되고 근대적인 국민 국가가 모습을 나타낸 시대이다. 경제면에서는 중세의 길드 조직이 붕...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