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방주교회2024.09.131. 교회론 1.1. 칼 바르트의 교회론 1.1.1. 교회의 본질 바르트는 교회의 본질에 관하여 새로운 기초를 세웠다. 바르트는 교회를 "사건"(Ereignis)으로 본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 인간은 그 말씀을 듣는 사건이 일어나는 그곳이 바로 교회이다. 이는 교회를 제도나 건물, 장소가 아닌 "사건"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교회 개념에 큰 충격을 주었다. 에밀 부룬너의 말씀의 사건 개념을 받아들인 호켄다익은 교회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며 고정된 장소가 없고 나그네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교회를 제도나 건...2024.09.13
-
루터의 3대 논문 요약 및 분석2024.09.21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6세기는 전면적인 사회적, 경제적 변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시대이다. 중세 유럽이 재편성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생활모습의 모체가 된 이 시기에는 기존의 종교적인 체제가 파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세속적인 면도 크게 변하였다. 이 시대는 역동적인 민족주의가 일어나서 5세기 이래 모든 기독교국을 지배하고 있던 대제국이 분단되고 근대적인 국민 국가가 모습을 나타낸 시대이다. 경제면에서는 중세의 길드 조직이 붕...2024.09.21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칼빈 목회2024.09.301. 서론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연구는 초·중세 기독교나 근대 유럽 기독교 문명의 근원에 대한 탐구일 뿐만 아니라, 아시아 기독교의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신학적 노력에 있어서도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어거스틴과 칼빈은 각각 기독교 제국인 로마가 몰락하던 시기와 중세 기독교 문명이 무너지고 유럽이 새로운 근대 사회로 재편되던 16세기 종교개혁 시기라고 하는 매우 드라마틱한 대 격동기에 그들 자신의 역사적 교회의 지도자로서 신학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2. 칼빈과 어거스틴 2.1.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2024.09.30
-
풍성한 삶으로의 초대2024.10.101.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기 1.1.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영성 생활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제자가 되지 않아도 영원히 그리스도인으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이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불러 모으셨고, 그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삶을 가르치셨다. 제자도는 단순히 예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자도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나라의 삶에 대한...2024.10.10
-
라틴어 직역 기독교강요2024.11.301. 서론 1.1. 헌사 칼빈은 헌사에서 이 작품을 쓴 유일한 목적은 종교에 대해서 여하한 열심을 내는 사람들이 참 경건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어떤 근본적인 사항들을 전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 저술 의도를 간단하게 말하면 소박한 가르침의 형식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헌사에서 칼빈은 왕에게 직설적이면서도 단호하게 말한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섬기지 않는 왕은 왕국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강도질을 행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으로 다스려지지 않는 자신의 왕국이 영원히 번영할 것을 기대하는 자...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성령세례 성령충만2024.11.30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성례의 정의와 중요성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거룩한 규례로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은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징을 통해 신자들에게 제시되고 인쳐지고 적용되며, 신자들은 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복종을 표시한다.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자 인장으로, 하나님께서 신자들에게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구별하고, 교회에 속한 사람들...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및 성령충만2024.11.30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서론 성례(성찬과 세례)는 신약성경에서도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7장에 따르면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며, 인장이다. 그것은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셨는데, 이는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볼 수 있게 구별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일에 엄숙하게 ...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분석2024.11.301.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성례의 정의와 의미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한 거룩한 규례로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은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징을 통해 신자들에게 제시되고 인쳐지고 적용되며, 신자들은 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복종을 표시한다. 즉,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며 '인장'으로, 하나님께서 직접 제정하셨다. 성례는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볼 수 있게 구별하며, 교회...2024.11.30
-
개혁주의 성례 의미: 성찬과 세례, 성령 세례와 충만2024.11.301.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은혜의 방편으로서 성례 1.1.1. 은혜의 방편과 성례의 의미 은혜의 방편과 성례의 의미"은혜의 방편"이라는 용어는 때로 아주 일반적인 의미로 교회, 말씀 선포, 성례, 안식일의 기도 등 신자들의 영적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되어, 하나님의 말씀과 성례를 가리킨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서는 은혜의 방편으로 말씀, 성례, 기도, 주기도문을 받아들였다. 이 은혜의 수단의 특징은 1) 보통 은혜인 일반은총과 구별되는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