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식품미생물학세대시간2024.09.12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1.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윌리엄 제임스 스콧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미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분함량이 아니라 수분 활성도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어 스콧은 미생물이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 활성도 개념을 확립했다. 이에 따라 수분활성이라는 개념은 특히 식품 분야에서 미생물의 생육 발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모든 유기체는 사용가능한 수분에 따라 성장의 영향을 받는다. 세포막에서 세포...2024.09.12
-
E.coli의 배양 조건, 분열시간, 성장곡선2024.09.261. 미생물 생장곡선 1.1. 미생물의 분열과정(Binary cell division) 대부분의 세균(Bacteria)은 이분법을 통해 증식하는데, 이분법에 의한 세포분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제가 일어나기 전 세균 염색체는 응축된 상태로 존재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경우 염색체를 완전히 펼치면 세포 길이의 500배에 달하는데, 이렇게 긴 염색체가 세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이 감기고 접혀 있어야만 한다. 다음으로 복제원점(replication origin)이라고 불리는 세균 염색체의 특정부...2024.09.26
-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2024.09.051. 미생물의 생장곡선 1.1. 미생물의 생장 미생물의 생장은 미생물 구성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가 있으면 그 세포는 세포분열을 하게 되고, 결국은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의 생장에 초점을 맞추는 실험에서는 미생물 개체의 질량과 크기의 증가보다는 집단생장, 즉 미생물 총수의 증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분법을 통해 생장한다. 한 개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두 개의 세포가 형성되므로, 최적환경에서 모든 단일 세포성 미생물은...2024.09.05
-
박테리아 지수함수2024.09.051. 생장곡선과 미생물의 생장 1.1. 미생물 생장의 정의 미생물 생장이란 미생물 구성 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가 있으면 그 세포는 세포분열을 하게 될 것이고, 결국은 개체수의 증가와 이어지게 된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분법을 하여 한 개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두 개의 세포를 형성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 생장이라는 용어는 단일 세포의 크기와 무게 증가뿐만 아니라 집단 내 총 세포 수의 증가를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2024.09.05
-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2024.09.051. 박테리아 성장곡선 1.1. 개요 및 목적 세균을 대량 배양할 때나 또는 조사해야 할 시료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균의 생장을 측정해 볼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배양액에서 세균의 생장곡선을 흡광도 측정 방법으로 구해보고 또 정확한 균체 수의 측정을 위하여 콜로니 계수법을 병행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세균의 생장 특성과 측정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1.2. 박테리아의 특성 박테리아는 단세포 생물로 대부분 크기가 0.5~5㎛ 정도이며,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