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유쾌하고 유익한2024.09.231. 성의 어원과 역사 1.1. 성(性)의 어원 성(性)의 어원은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화에서 유래한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자신의 책 "향연" 편에서, 인간의 조상들이 신들과 함께 살아가는 신화를 지어내었다. 이 신화에 따르면 당시 인간의 생김새가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는데, 태양의 자손인 남자, 땅의 자손인 여자, 그리고 달의 자손인 양성체 인간이었다. 양성체 인간은 두 사람의 머리가 합쳐져 있어 뛰어난 정신 능력과 신체 능력을 갖고 있었지만, 이들의 자만심과 무례함으로 인해 신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제우스 신은 이들을 둘로 갈...2024.09.23
-
인체해부학2024.10.211. 인체 순환계의 특징 1.1. 태아 순환의 특성 태아 순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태아가 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태아의 몸은 폐로 가는 혈액을 최대한 다른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난원공과 동맥관이라는 두 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난원공은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정상인의 경우 "우심방 → 우심실 → 폐"의 순서가 태아의 경우 우심실로 가야할 혈액이 난원공을 통해 일부 빠져나가 바로 좌심방에 다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좌심방에 흘러들어온 혈액은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경로로 ...2024.10.21
-
간호 해부학2024.10.081. 태아순환의 특성 1.1. 태아 순환의 구조와 특징 태아 순환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태아 순환은 대부분의 정맥에 동맥혈, 동맥에 정맥혈이 흐르는 것이 두드러지는 차이이다. 태아는 태반을 통해 모체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으며, 동맥관과 난원공이 열려있다. 우심실의 박출량이 좌심실의 박출량보다 약 50%가 많아 태아에서는 우심방이 우세하다. 태아 폐의 세동맥은 중간층이 두껍고 내강이 좁으며, 저산소증이 이 폐혈관 수축을 조장한다. 태아의 체순환은 전체의 65%가 저항이 낮은 태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저항이 낮다. 반면 저항이...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