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하늘의 법정, 사도행전2024.09.231. 구원과 구원서정 1.1. 구원의 두 가지 측면 구원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 차원의 구원이고, 둘째는 주관적 차원의 구원이다. 객관적 차원의 구원은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구원을 의미한다. 즉,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를 완전히 속량하시고 구원의 길을 마련하셨다는 것이다. 이는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구원이며, 기독론적 차원에 속한다.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이 구원은 인간의 노력이나 행위와 무관하게 완성된 것으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이루신 구속 사역의 결과이다. 주관적...2024.09.23
-
신학논문2024.09.141. 서론 1.1. 연구 목적 개혁주의적 성령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학교 채플이 끝나고 불이 꺼지면 방언으로 기도하는 전도사님들이 꽤 있다. 연구자는 몇몇 동료 전도사님들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방언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학교와 교단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됐다. 연구자가 학교에서 배운 바로는 우리 교단의 신학은 성령 은사중지론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목회현장은 말할 것도 없고 학교 채플 시간을 보면 은사중지론의 입장을 고수하는 교단이 맞는가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경험적으...2024.09.14
-
청교도의 설교2024.10.061. 참된 목자와 설교자 1.1. 자아성찰의 중요성 참된 목자와 설교자에서 자아성찰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회자로서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나님을 바로 알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간이 하나님을 떠나서 창조물과 자신을 알고자 하면 참된 지식을 잃게 된다. 따라서 창조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그에 의지하여야 한다. 더불어 목회자는 자신의 죄악적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거룩하지 못한 사람이 거룩한 직분을 가진다고 해서 구원을 받는 것은 아니다. ...2024.10.06
-
웨슬리 구원론2024.10.081. 웨슬리의 구원론 1.1. 하나님의 형상 1.1.1. 자연적 형상 자연적 형상은 인간이 하나님과의 관계성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는 이성, 의지, 자유는 자연적 형상에 속한다. 웨슬리는 타락 이전의 이성과 타락 이후의 이성을 구분하며, 타락 이전에 인간의 이성은 직관적으로 진리를 식별할 수 있었다. 이것의 증거로서 웨슬리는 아담이 모든 피조물의 이름을 지은 것에서 찾아낸다. 아담은 동물들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식별하여 이름을 지었다. 그러나 타락 이후에 인간의 이성은 더 이상 직관적으로 진리에...2024.10.08
-
예수그리스도의 대속의 십자가를 완전타락한 인간의 상태와 연관하여 설명하시오2024.10.311. 구원론과 구원의 서정 1.1. 구원론의 개요 구원론의 개요는 구원을 죄인에게 전달하는 것과 하나님의 은혜와 하나님과의 긴밀한 교제의 생활로 회복되는 것을 다룬다. 따라서 구원론의 이해는 전적으로 하나님께 의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이 사용하고 누릴 수 있도록 인류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지으시고 그 부성적 사랑과 인간을 향한 선하심을 나타내셨음에도 불구하고, 불순종하여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께서 베푸신 구원의 내용을 살펴볼 때에 마땅히 취해야 할 태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공로나 역할을...2024.10.31
-
존 웨슬리의 구원론에서 은총과 칭의2024.10.181. 존 웨슬리의 구원론 1.1. 중생 1.1.1. 중생의 의미 중생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를 뜻한다. 첫째, 중생은 삼위 하나님의 사역이다. 성부 하나님은 생명의 창조 주체이자 원천이 되시며, 성자 하나님은 십자가 보혈의 공로로 생명의 길이 되시고, 성령 하나님은 생명의 영으로서 회개하게 하시고 예수님께로 인도하신다.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새 생명을 주시고 새 피조물로 변화시키시는 것이 중생의 은혜이다. 둘째, 중생은 영으로 나는 것을 뜻한다. 거듭남은 영적으로 새로운 존재가 되는 것으로, 물과 성령으로 나는 것을 말...2024.10.18
-
기독교사상의이해2024.10.191. 성령의 인격과 사역 1.1. 성령의 인격 1.1.1. 성령의 이름 성령의 이름에는 보혜사(Parakletos), 진리의 영, 하나님의 영 등이 있다" 보혜사란 "도우시는 자", "도와주도록 곁으로 부름 받은 자"라는 뜻이다. 보혜사는 아버지 하나님께로부터 독생자 예수님의 보내심을 받아 오셔서 제자들과 함께 영원히 거하시며 그리스도를 증거하시며 세상을 책망하신다" 진리의 영이란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시는 성령을 가리킨다. 즉 성령을 믿을 때 진리의 본체이신 성령님은 신자의 생활 중심에서 진리로 역사하시는 것이다"...2024.10.19
-
칭의론2024.11.261.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1.1. 배경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가 태어나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개혁파 정통주의가 견고히 자리매김을 한 이후였다. 에드워즈는 프란시스 투레틴으로부터 신학의 정교함을 배웠고, 윌리암 에임스로부터 교리의 실천성을 배웠다. 즉, 에드워즈는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 내용과 방법론을 모두 물려받았다. 에드워즈가 복음을 방어하고 전파하는 사명에 있어서 칼빈과 정통주의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의 설교의 명쾌함과 힘의 진정한 원천은 그의 신학, 즉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드러나는 ...2024.11.26
-
성화 균형있게 이해하기2024.10.261. 성화의 균형 있는 이해 1.1. 과거의 균형 잃은 성화론 과거에는 성화에 대한 균형 잃은 견해가 존재했다. 성화에 대한 두 주요 명제는 "성화는 하나님이 하신다"와 "성화는 인간의 역할과 책임이 필요하다"이다. 그러나 이 두 부류 중에서 상당수가 어느 한 편에 치우치는 불균형을 보였다. 일부는 성화가 전적으로 하나님의 몫이라고 강조하다 보니 인간의 역할과 책임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다른 이들은 성화에 있어서 인간의 노력을 강조하다 보니 하나님의 역할을 간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성화에 대한 편향된 견해들이...2024.10.26
-
창조 타락 구속 최종본 분석2025.02.101. 서론 1.1. 창조 타락 구속의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창조, 타락, 구속이다. 하나님께서는 선한 창조 세계를 만드셨으나 인간의 죄로 인해 그 창조세계가 타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 창조세계는 다시 회복되어 새 하늘과 새 땅이 임할 것이다. 창조는 하나님께서 무로부터 세상을 만드신 사건이자, 하나님의 주권적인 활동을 통해 창조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영원한 능력과 신성을 만물을 통해 드러내셨으며, 인간에게 창조 질서에 순종하며...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