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칭의론2024.11.261.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1.1. 배경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가 태어나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개혁파 정통주의가 견고히 자리매김을 한 이후였다. 에드워즈는 프란시스 투레틴으로부터 신학의 정교함을 배웠고, 윌리암 에임스로부터 교리의 실천성을 배웠다. 즉, 에드워즈는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 내용과 방법론을 모두 물려받았다. 에드워즈가 복음을 방어하고 전파하는 사명에 있어서 칼빈과 정통주의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의 설교의 명쾌함과 힘의 진정한 원천은 그의 신학, 즉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드러나는 ...2024.11.26
-
세계관을 분별하라 독후감 (기독교2025.03.311. 서론 세계관은 실재(reality)에 대한 관점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세상을 바라보는 틀이다. 세계관은 경험들이 이성의 합리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편견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초자연적인 사실들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계시는 인간의 제한된 이성으로는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나님의 세계관으로 자신의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전도와 선교의 핵심이며, 이는 지속적인 성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오늘날 모든 세계관은 물질주의라는 바알 신앙과 혼합되어 있어, 우리도 무의식중에 비성경적 세계관에 물들어 있을 수 있다. 오직 ...2025.03.31
-
창조 타락 구속 최종본 분석2025.02.101. 서론 1.1. 창조 타락 구속의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창조, 타락, 구속이다. 하나님께서는 선한 창조 세계를 만드셨으나 인간의 죄로 인해 그 창조세계가 타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 창조세계는 다시 회복되어 새 하늘과 새 땅이 임할 것이다. 창조는 하나님께서 무로부터 세상을 만드신 사건이자, 하나님의 주권적인 활동을 통해 창조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영원한 능력과 신성을 만물을 통해 드러내셨으며, 인간에게 창조 질서에 순종하며...2025.02.10
-
기독교조직신학개론2025.03.131. 서론 1.1.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의 저자와 저서 소개 다니엘L. 밀리오리 박사가 저자로, 2009년 찰스 하지 석좌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조직 신학, 삼위일체론, 기독론, 칼 바르트의 사상 등을 가르쳤다. 또한 프리스턴 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명예박사를 받았으며, 장로교 목사로서 교회 현장에서 사역하기도 하였다. 저자는 신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여러 위험한 점들이 있으며, 다양한 제안과 기획에 쉽게 혼란에 빠지거나 경솔한 절충주의에 빠질 수 있다고 언급한다. 이에 따라 ...2025.03.13
-
하나님을 아는 지식2025.04.051. 하나님을 아는 지식 1.1. 여호와를 알라 - 하나님에 대한 연구 1.1.1. 다섯 가지 기본원리 하나님은 인간에게 말씀하셨으며, 성경은 구원에 이르는 지혜를 갖도록 하기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님은 그분이 지으신 세상의 주님이시며 왕이시다. 하나님은 하시는 모든 일에서 완전하심을 나타내 보이시면서 자신의 영광을 위해 모든 것을 다스리신다. 이로 인해 인간들과 천사들은 하나님을 예배하고 찬미한다. 하나님은 구세주로서, 믿는 자들을 죄책과 죄의 권세로부터 구하시기 위해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권적인 ...2025.04.05
-
성화 균형있게 이해하기2024.10.261. 성화의 균형 있는 이해 1.1. 과거의 균형 잃은 성화론 과거에는 성화에 대한 균형 잃은 견해가 존재했다. 성화에 대한 두 주요 명제는 "성화는 하나님이 하신다"와 "성화는 인간의 역할과 책임이 필요하다"이다. 그러나 이 두 부류 중에서 상당수가 어느 한 편에 치우치는 불균형을 보였다. 일부는 성화가 전적으로 하나님의 몫이라고 강조하다 보니 인간의 역할과 책임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다른 이들은 성화에 있어서 인간의 노력을 강조하다 보니 하나님의 역할을 간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성화에 대한 편향된 견해들이...2024.10.26
-
존 웨슬리의 구원론에서 은총과 칭의2024.10.181. 존 웨슬리의 구원론 1.1. 중생 1.1.1. 중생의 의미 중생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를 뜻한다. 첫째, 중생은 삼위 하나님의 사역이다. 성부 하나님은 생명의 창조 주체이자 원천이 되시며, 성자 하나님은 십자가 보혈의 공로로 생명의 길이 되시고, 성령 하나님은 생명의 영으로서 회개하게 하시고 예수님께로 인도하신다.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새 생명을 주시고 새 피조물로 변화시키시는 것이 중생의 은혜이다. 둘째, 중생은 영으로 나는 것을 뜻한다. 거듭남은 영적으로 새로운 존재가 되는 것으로, 물과 성령으로 나는 것을 말...2024.10.18
-
하늘의 법정, 사도행전2024.09.231. 구원과 구원서정 1.1. 구원의 두 가지 측면 구원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 차원의 구원이고, 둘째는 주관적 차원의 구원이다. 객관적 차원의 구원은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구원을 의미한다. 즉,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를 완전히 속량하시고 구원의 길을 마련하셨다는 것이다. 이는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구원이며, 기독론적 차원에 속한다.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이 구원은 인간의 노력이나 행위와 무관하게 완성된 것으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이루신 구속 사역의 결과이다. 주관적...2024.09.23
-
예수그리스도의 대속의 십자가를 완전타락한 인간의 상태와 연관하여 설명하시오2024.10.311. 구원론과 구원의 서정 1.1. 구원론의 개요 구원론의 개요는 구원을 죄인에게 전달하는 것과 하나님의 은혜와 하나님과의 긴밀한 교제의 생활로 회복되는 것을 다룬다. 따라서 구원론의 이해는 전적으로 하나님께 의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이 사용하고 누릴 수 있도록 인류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지으시고 그 부성적 사랑과 인간을 향한 선하심을 나타내셨음에도 불구하고, 불순종하여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께서 베푸신 구원의 내용을 살펴볼 때에 마땅히 취해야 할 태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공로나 역할을...2024.10.31
-
청교도의 설교2024.10.061. 참된 목자와 설교자 1.1. 자아성찰의 중요성 참된 목자와 설교자에서 자아성찰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회자로서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나님을 바로 알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간이 하나님을 떠나서 창조물과 자신을 알고자 하면 참된 지식을 잃게 된다. 따라서 창조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그에 의지하여야 한다. 더불어 목회자는 자신의 죄악적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거룩하지 못한 사람이 거룩한 직분을 가진다고 해서 구원을 받는 것은 아니다.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