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KSL 교육2024.09.231. 한국어 교육과정 개관 1.1.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특징 1.1.1. 한국어 교육 대상자의 명시적 제시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KSL)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대상자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였다. 교육 대상자로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 및 중도입국자녀,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이주민 등이 포함된다. 이전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중심이었던 데 비해,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일상생활 한국어 학습자인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에...2024.09.23
-
배움 2차 모의수업안2024.09.301. 생명과학Ⅰ 교과 운영 계획 1.1. 평가의 목적 및 방향 생명과학Ⅰ 교과의 평가는 학생들의 생명과학적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학습 지도 계획 수립과 지도 방법의 개선, 진로 지도 등의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유기적으로 사용하여 생명과학Ⅰ 교과 성취 기준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고르게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며, 인간을 중심으로 한 생명 현상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개인과 ...2024.09.30
-
의학용어 중간고사2025.04.261. 서론 기초간호 교육과정에서 실습 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이론과 실습을 균형있게 습득하여 전인적인 간호 역량을 기르기 위함이다. 기초간호 임상 실무 평가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본 평가의 주된 목적은 간호 실무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간호 실무 능력 배양, 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간호 실무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성장을 도모하고 교수-학습 개선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유기적으로 사용하여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고루 평가함으로써 학생들...2025.04.26
-
방송통신 기말 교육평가 규준참조와 준거참조 설명2025.05.201.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의 개념 및 특징 1.1. 규준참조평가의 개념과 특징 규준참조평가(Norm-referenced assessment)란 한 개인의 성취 수준을 또래 집단이나 비교 집단의 평균, 표준편차 등의 규준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해석하는 평가 방식이다. 즉, 상대평가를 통해 한 개인의 점수나 성취를 다른 타인과 비교하여 그 위치를 판단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이다. 해당 평가 방식은 한 개인의 절대적 학습 성취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보다는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동...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