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루터의 3대 논문 요약 및 분석2024.09.21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6세기는 전면적인 사회적, 경제적 변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시대이다. 중세 유럽이 재편성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생활모습의 모체가 된 이 시기에는 기존의 종교적인 체제가 파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세속적인 면도 크게 변하였다. 이 시대는 역동적인 민족주의가 일어나서 5세기 이래 모든 기독교국을 지배하고 있던 대제국이 분단되고 근대적인 국민 국가가 모습을 나타낸 시대이다. 경제면에서는 중세의 길드 조직이 붕...2024.09.21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기독교사상사2024.10.301. 기독교 사상의 3가지 유형 1.1. 유형 A: 카르타고 신학 1.1.1. 터툴리안의 신학 1.1.1.1. 하나님에 대한 관점 유형 A의 카르타고 신학을 대표하는 터툴리안은 하나님을 우주의 주권자이자 통치자로 이해했다. 그에 따르면 하나님은 우주의 질서를 체계적으로 인도해 가시는 분이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을 첫째로 법제정자이자 통치자로 묘사한다. 하나님은 율법과 도덕을 정하시어 그에 따라 우주를 다스리시는 분이다. 터툴리안은 또한 하나님의 삼위일체성을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의 본질은 한 분이지만 성부, 성자, 성령의 ...2024.10.30
-
중세교회 예배2024.10.111. 중세 카톨릭교회 예배의 제 형태 1.1. 중세 예배의 특징 중세 카톨릭교회의 예배는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중세 예배는 신학과 신앙의 표준인 말씀보다는 신비한 경험과 다양한 의식들이 예배의 중심이 되었다. 성당에서 드려진 예배당은 매우 시각적이고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 국왕과 사제, 남녀노소, 수녀들과 어린이들, 성묘와 성물들이 미신적으로 성별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이 사람들의 인격과 행위를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교회와 국가 지도자들은 신의 뜻을 위한 명분으로 여러 의식과 제도를 제정하고 부와 ...2024.10.11
-
교회 3.02024.11.291. 교회 3.0 교회 3.0은 저자 닐 콜이 제시한 미래 교회의 모습이다. 저자는 교회의 발전을 소프트웨어 버전 업그레이드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교회 1.0은 단순하고 가족적이지만 '닫혀 있는' 초대교회이다. 313년 콘스탄티노플 황제가 기독교를 승인하면서 교회 2.0이 탄생하였다. 교회 2.0은 중세부터 현대에 이르는 '조직화', '제도화'된 교회이다. 종교개혁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조직 체계는 변하지 않았다. 교회 3.0은 본질이 아니면 무엇이든 '해체할 수 있는' 유기적 교회이다. 교회 3.0은 모든 면에서...2024.11.29
-
라틴어 직역 기독교강요2024.11.301. 서론 1.1. 헌사 칼빈은 헌사에서 이 작품을 쓴 유일한 목적은 종교에 대해서 여하한 열심을 내는 사람들이 참 경건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어떤 근본적인 사항들을 전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 저술 의도를 간단하게 말하면 소박한 가르침의 형식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헌사에서 칼빈은 왕에게 직설적이면서도 단호하게 말한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섬기지 않는 왕은 왕국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강도질을 행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으로 다스려지지 않는 자신의 왕국이 영원히 번영할 것을 기대하는 자...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성령세례 성령충만2024.11.30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성례의 정의와 중요성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거룩한 규례로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은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징을 통해 신자들에게 제시되고 인쳐지고 적용되며, 신자들은 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복종을 표시한다.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자 인장으로, 하나님께서 신자들에게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구별하고, 교회에 속한 사람들...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및 성령충만2024.11.30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서론 성례(성찬과 세례)는 신약성경에서도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7장에 따르면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며, 인장이다. 그것은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셨는데, 이는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볼 수 있게 구별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일에 엄숙하게 ...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분석2024.11.301.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성례의 정의와 의미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한 거룩한 규례로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은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징을 통해 신자들에게 제시되고 인쳐지고 적용되며, 신자들은 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복종을 표시한다. 즉,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며 '인장'으로, 하나님께서 직접 제정하셨다. 성례는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볼 수 있게 구별하며, 교회...2024.11.30
-
개혁주의 성례 의미: 성찬과 세례, 성령 세례와 충만2024.11.301.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은혜의 방편으로서 성례 1.1.1. 은혜의 방편과 성례의 의미 은혜의 방편과 성례의 의미"은혜의 방편"이라는 용어는 때로 아주 일반적인 의미로 교회, 말씀 선포, 성례, 안식일의 기도 등 신자들의 영적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되어, 하나님의 말씀과 성례를 가리킨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서는 은혜의 방편으로 말씀, 성례, 기도, 주기도문을 받아들였다. 이 은혜의 수단의 특징은 1) 보통 은혜인 일반은총과 구별되는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