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제 2 성전기 유대교2024.09.201. 종교와 역사 속의 예루살렘 1.1.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은 기원 70년 유대 전쟁의 비극적인 최종 결말이었다. 이 전쟁은 로마 제국과 유대인 간의 오랜 갈등의 절정이었으며, 유대인들에게는 끔찍한 참화였다. 당시 로마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있었다. 50만에 가까운 굶주린 유대인들이 성 안에 갇혀 있었다. 로마군이 성을 공격하면서 예루살렘은 지옥 같은 공격을 받았다. 유대인들은 저항하며 싸웠지만 결국 패배했다. 성전은 파괴되었고, 도시는 약탈당했다. 많은 유대인들이 학살당했고, 생존자들...2024.09.20
-
다윗의 하나님나라 복음2024.10.151. 예배와 하나님의 임재 1.1. 다윗의 장막 - GOD'S Favorite House 다윗의 장막 - GOD'S Favorite House는 예배에 관한 성경적인 원리와 실천적 문제를 제시한 책이다. 이 책은 다윗의 임시 처소인 장막이 하나님께 드리는 참 예배의 장소였음을 설명한다. 저자는 오늘날 교회가 고급한 문화와 예술, 첨단 기술을 도입하려는 것은 좋은 시도이지만, 복음의 깊이를 잃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하나님의 임재를 초대하려면 그분의 임재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다윗은 하루 24시간, 1주일...2024.10.15
-
성전의 의미2024.12.011. 성전신학 1.1.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성경연구 1.1.1. 성경신학의 본질과 현황 및 다른 연구분야와의 관계 성경신학은 성경의 계시와 구원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다루며, 성경신학의 본질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성경신학의 본질은 성경의 신학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구원의 계시이며, 성경신학은 이 계시에 담긴 신학적 진리들을 체계화하고 해석한다. 특히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과 연속성, 그리고 이 둘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성경신학의 핵심 과제다. 둘째, 성경신학의 본질은 성경 전체의 ...2024.12.01
-
성령의 성전2024.12.011. 성령의 역사적 경험과 성령의 역할 1.1. 성령의 역사적 경험 하나님에 대한 역사적 경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역사적 사건들을 매개로 하여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하나님에 대한 경험을 말한다. 역사적 현재는 회상을 통하여 규정되어 하나의 미래를 지향하는 길로 파악된다. 현재는 `언제나 지금` 곧 영원한 지금을 말하며 영원의 범주에 속한다. 영원한 것은 단 하나의 시간, 곧 현재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히브리어 `여호와의 루아흐`에서 하나님은 인간과 자연 안에 있는 태풍, 폭풍과 같은 힘이라고 해석되는데, 이것은 경...2024.12.01
-
신명기계 역사서와 역대기계 역사서2024.11.251. 유대교 1.1. 유대인과 유대교 1.1.1. 유대인의 유래 유대인의 유래는 기원전 2000여 년, 작은 셈족의 유목민들을 이끌었던 아브라함이 가나안으로 이주해옴으로써 시작된다. 유목민 아브라함은 그의 자손에게 가나안의 땅을 준다는 신의 약속을 받았으며 계약 때문에 가나안은 유대민족 약속의 땅이 되었다. 아브라함의 손자 야곱은 바빌로니아 등에 쫓겨 이집트로 이주하였다. 이 유목민들은 히브리인(Hebrews)으로, 오늘날 이스라엘인의 조상이었다. 이들은 힉소스족의 통치 때엔 처세를 통해 차별 없이 살았으나, 상이집트(Upper...2024.11.25
-
그레고리 K 비일 성전신학 요약 서평2024.12.101. 서론 1.1.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은 새롭고 완전한 창조세계를 보여준다. 요한은 "새 하늘과 새 땅"(계 21:1)을 보았는데, 이는 현재의 타락하고 죄로 가득한 세상이 종말에 이르러 완전히 새롭게 창조될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요한은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계 21:2)을 보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친히 내려와 거하실 완전한 도시-성전을 말한다. 이처럼 요한의 환상 속에서는 새로운 창조 세계와 그 중심에 자리한 도시-성전이 명확히 구분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이는 앞선 부분...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