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인체생리학 문제2024.12.021. 테스토스테론 불감성 증후군과 성 결정 1.1. 유전적 성별의 정의 성의 결정은 유전적으로 1쌍의 성염색체(sex chromosome)에 의해 결정되며, 여성은 XX, 남성은 XY를 가진다. 본문의 김공주는 유전적으로 남성이라고 하였기에 XY의 성염색체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1.2. 테스토스테론의 기능과 생성 테스토스테론은 안드로겐의 주 호르몬이다. 고환의 간질세포(Leydig 세포)에서 분비되며 생식기관의 성장과 발달, 정자 형성과 남성의 이차성징, 성 욕구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비저하 시, 남성 2차 성징의 퇴축...2024.12.02
-
초파리 눈 반성유전2024.08.221. 서론 1.1. 반성유전의 개념과 특성 반성유전이란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에 의해 일어나는 유전 현상으로, 어떤 유전자가 X염색체 또는 Y염색체에 있어서 성에 따라 그 출현 빈도가 달라지는 유전 현상을 말한다. X염색체 연관 유전자의 경우 혈우병, 색맹, fragile-X syndrome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Y염색체 연관 유전자의 경우 오직 남성에게서만 발현되는 이모증(heterotrichosis)이 그 예이다. 반성유전에서 중요한 점은 성염색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다. 여성은 X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