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개
-
성악설2024.09.261. 서론 성악설과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철학적 개념들이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성악설을,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쳤다. 이는 단순히 인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바라봄과 해결방안에서도 큰 차이를 드러낸다.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를 사단(四端)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인간이 타고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통해 드러나는 선한 마음이다. ...2024.09.26
-
성악설 토론2024.09.261. 성악설과 성선설에 대한 논의 1.1.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는 다음과 같다. 성악설은 인간의 타고난 본성을 악으로 보고, 도덕적 수양은 교육을 통한 후천적 습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이는 중국의 철학자 순자(荀子)의 견해이다. 순자는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선하지 않고 악할 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순자에 따르면, 동물들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본능적인 능력들, 예를 들어 먹을 것을 찾는 능력, 몸을 보호하는 능력 등은 선한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본...2024.09.26
-
인간관과 교육관 비교 및 진로결정 요인 설명2024.10.051. 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성선설, 성악설, 백지설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맹자가 처음 주장한 이 입장은 인의예지의 4단이 천성에서 발생하므로 인간은 본래 선하다고 본다. 루소 역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 것이었는데 문명과 사회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성선설의 관점에서는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른 교육관의 핵심은 '민주적 교육'이다. 선한 인간의 선한 본성을 확장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므로 학습자에게 강제나 구속...2024.10.05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상호 비교2024.10.081. 서론 인류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은 경쟁과 전쟁 그리고 분쟁으로 이루어졌다 하여도 큰 이상이 없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었으며, 아시아 중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념의 싸움과 달리 영토 위주로 일어난 중세의 전쟁은 일상이었다. 덕분에 백성들은 살아남지 못했고, 핍박과 착취를 받으며 지내야만 했다. 공자는 인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정치를 역설했다. 당연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명의 정치를 주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규범을 잃었고, 공자는 올바른 행위 규범을 확립했다. 그에 따라 보편적인 도덕•윤...2024.10.08
-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2024.10.08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2024.10.08
-
나의 성악설 서론2024.10.081.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1.1. 성선설과 성악설의 대립 1.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의 대표적 학자이다. 맹자는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이는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진 다른 아이를 보고 깜짝 놀라며 측은한 마음을 갖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은 보상을 받기 위해서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순수하게 다른 사람에 대한 측은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맹자는 이러한 선한 본성이 인간...2024.10.08
-
윤리와 사상 정리2024.10.031.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인간의 고유한 특성 인간의 고유한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 능력을 통해 더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인간은 정치적 존재이다. 인간은 집단을 이루어 정치 활동을 한다"". 인간은 경제적 존재이다. 인간은 경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 인간은 유희적 존재이다. 인간은 삶 속에서 다양한 재미와 가치를 추구한다"". 인간은 문화적 존재이...2024.10.03
-
맹자를 제외한 성선설 근거2024.10.021. 서론 좋은 보고서를 쓰기 위해 교수님이 싫어할 만한 글을 쓰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저자는 강의를 들으며 논박하고 싶었던 점과 다른 의견들을 기술하며 '순자'에 대해 풀어 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남이 싫어하는 글'이 어째서 훌륭한 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남이 싫어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요점 파악과 문제점 포착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책과 논문을 탐독하고 자신의 생각을 결합시켜 비판적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2024.10.02
-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2024.10.201.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1.1. 성선설과 성악설 1.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한다. 맹자는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내재함을 근거로 들면서, 사람이 모두 이러한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면 깜짝 놀라며 측은한 마음이 들게 되는데, 이는 그 마음이 어린아이의 부모나 마을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선천적으로 내재한 선한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2024.10.20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