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2024.10.08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2024.10.08
-
선악2024.11.261.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 1.1. 기독교적 의미의 선악 기독교적 의미의 선악은 성경에 나타난 선악의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는 선악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선은 하나님과 그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며, 악은 육체의 욕망과 죄에 빠져 타락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원론적 관점에서 성경은 선한 것은 신앙심과 도덕성에 부합하는 행동이며, 악한 것은 인간의 본능적 욕망에 충실한 행동이라고 규정한다. 특히 기독교에서는 인간이 원죄로 인해 타락했다고 보기에, 선한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