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개
-
성선설의 근거2024.10.021. 맹자의 성선설 1.1. 성선설의 개념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성선(性善)이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본성적으로 선하다는 개념이다. 맹자는 인간이 하늘에서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곧 인간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인간이 선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인간이 도덕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인 성선은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며, 이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등의 사단(四端)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사단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도덕...2024.10.02
-
성선설의 근거 루소2024.10.021.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1.1. 루소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장 자크 루소는 스위스 제네바의 한 청교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출생 직후 어머니를 여의고 숙모와 아버지의 손에서 자라났다. 이후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낸 루소는 학문에 대한 궁극적인 관심과 열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계몽사상가들이었던 '백과전서파'들과 교류하며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 나갔다. 38세에 루소는 디종 아카데미의 논문 현상에 그의 최초의 논문인 『학문예술론』이 당선되면서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1756년부터 1762년까지의 기간에...2024.10.02
-
맹자를 제외한 성선설 근거2024.10.021. 서론 좋은 보고서를 쓰기 위해 교수님이 싫어할 만한 글을 쓰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저자는 강의를 들으며 논박하고 싶었던 점과 다른 의견들을 기술하며 '순자'에 대해 풀어 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남이 싫어하는 글'이 어째서 훌륭한 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남이 싫어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요점 파악과 문제점 포착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책과 논문을 탐독하고 자신의 생각을 결합시켜 비판적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2024.10.02
-
맹자2024.10.021. 맹자 소개 1.1. 맹자의 생애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학자로, 공자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맹자의 생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맹자는 기원전 372년경 만(滿)나라(현재의 산동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친이 일찍 돌아가시자 모자가 노국으로 이주하여 살았다고 한다. 맹자의 어머니는 아들의 교육에 힘써 정성을 다했다는 것이 유명한데, 그의 어머니에 대한 일화는 유명하다. 맹자가 어렸을 때 맹자의 어머니는 세 번이나 이사를 했는데, 이는 그의 주변 환경이 아들의 교육에 미칠 영향을 고려했기 때문...2024.10.02
-
맹자 교육2024.10.021. 맹자의 생애와 사상 1.1. 맹자의 생애 맹자는 추(鄒)나라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與) 또는 자거(子居)이다. 맹자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급씨의 헌신적인 사랑과 훈도 속에서 성장하였다. 그의 어머니는 맹자에게 도덕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유명하다. 맹자의 맹모삼천지교나 맹모단기지교의 일화에서 볼 수 있듯이 맹자의 어머니는 맹자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후 맹자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맹자는 공자를 일생의 스승으로 생각하여 "...2024.10.02
-
인간관과 교육관 비교 및 진로결정 요인 설명2024.10.051. 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성선설, 성악설, 백지설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맹자가 처음 주장한 이 입장은 인의예지의 4단이 천성에서 발생하므로 인간은 본래 선하다고 본다. 루소 역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 것이었는데 문명과 사회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성선설의 관점에서는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른 교육관의 핵심은 '민주적 교육'이다. 선한 인간의 선한 본성을 확장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므로 학습자에게 강제나 구속...2024.10.05
-
성악설2024.09.261. 서론 성악설과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철학적 개념들이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성악설을,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쳤다. 이는 단순히 인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바라봄과 해결방안에서도 큰 차이를 드러낸다.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를 사단(四端)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인간이 타고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통해 드러나는 선한 마음이다. ...2024.09.26
-
성악설 토론2024.09.261. 성악설과 성선설에 대한 논의 1.1.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는 다음과 같다. 성악설은 인간의 타고난 본성을 악으로 보고, 도덕적 수양은 교육을 통한 후천적 습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이는 중국의 철학자 순자(荀子)의 견해이다. 순자는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선하지 않고 악할 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순자에 따르면, 동물들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본능적인 능력들, 예를 들어 먹을 것을 찾는 능력, 몸을 보호하는 능력 등은 선한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본...2024.09.26
-
윤리와 사상 정리2024.10.031.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인간의 고유한 특성 인간의 고유한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 능력을 통해 더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인간은 정치적 존재이다. 인간은 집단을 이루어 정치 활동을 한다"". 인간은 경제적 존재이다. 인간은 경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 인간은 유희적 존재이다. 인간은 삶 속에서 다양한 재미와 가치를 추구한다"". 인간은 문화적 존재이...2024.10.03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