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비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 수업을 들으며 느낀점2024.09.121. 서론 필자는 기독교인이 아니다. 가톨릭교인도 아니다. 따라서 이 두 종교에 신앙심이 깊은 분들처럼 성서의 내용이 머릿속에 달달 외워져 있지도 않고 그분들만큼 성서 속 말씀들을 깊이 생각하기에도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이번 글을 쓰면서 성서 속에 있는 격언들을 적혀져 있는 내용만이라도 이해하는 식으로 읽어보았다. 성서를 처음 읽어본 사람으로서 느낀 바에 따라 솔직하게 떠오르는 방식으로 글의 소재들을 정하였다. 먼저 성서가 어떤 책인지에 관해 생각해보니 읽자마자 문학 작품을 읽는 느낌이 들어서 고전으로서 성서의 의미를 알아볼 것이다...2024.09.12
-
부활의 의미2024.09.211.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1.1. 죽음의 구원론적 의미 1.1.1. 성서에 기록된 대로 우리의 죄 때문에 돌아가셨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구원론적 의미에 대해 이야기해보자면, 먼저 "성서에 기록된 대로 우리의 죄 때문에 돌아가셨다"는 부분이 중요하다. 예수께서는 하느님께서 정하신 구원의 계획 안에서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돌아가셨다. 이는 구약성서에 예고된 "의로운 종"의 죽음을 통한 보편적 구속, 즉 모든 사람을 죄에서 해방시키는 구원의 신비를 성취하신 것이다. 사도 바울도 자신이 "전해 받았다"고 말하는 신앙고백에서 "그리...2024.09.21
-
대선지서 요약2024.11.081. 성경 이해 1.1. 성서란 무엇인가? 1.1.1.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서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산물이다. 성서는 긴 역사를 내포하고 있고 인간의 언어로 쓰여졌으며 인간들의 역사와 생활을 철저히 반영하고 있다. 성서 속에는 철학과 시와 노래와 역사와 문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성서는 단순히 하나님의 기계적 조작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니라 인간의 증언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시대적 산물이면서도 동...2024.11.08
-
성경과 기독교 가치관에 대한 이해2024.10.271. 성서와 종교의 수단적 가치에 대한 고찰 1.1. 서론: 종교적 권위와 경전 종교는 '초인적인 질서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규범과 가치체계'이다. 이런 정의를 바탕으로 꼼꼼하게 따져보면 공산주의와 같은 정치사상 또한 종교로 취급해도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불교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만든 가상의 질서를 따르고, 기독교에서 신을 믿듯 특정 인물들을 숭배한다고 여길 정도로 따른다. 반대로 인간이 일반적으로 '종교'로 취급하는 기독교, 불교의 말씀도 특정 정치사상 등 협력의 목적을 위해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2024.10.27
-
그리스로마신화의이해 중간고사2024.10.241. 성서와 종교 1.1. 종교적 권위와 경전 종교는 '초인적인 질서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규범과 가치체계'이다. 이러한 종교에서 성서와 같은 경전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경전은 본래 종교의 믿음과 근간 원리를 다루기 위함이 목적이지만, 때로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종교 집단의 지도자들은 경전을 자신들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경전에 '종교'란 프레임 아래 특정한 권위를 부여한다. 이는 성서의 경우에서도 나타난다. 성서는 그리스도교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종교개혁 당시 로마가톨릭 세력...2024.10.24
-
낙태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들과 성경적인 견해를 비교하며 논하시오2024.10.161. 기독교윤리학개론 1.1. 기독교윤리학의 의미와 특징 기독교윤리학은 그리스도인들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들이 하나님과 그의 창조세계와 연관되어 규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윤리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윤리학은 성서와 교회, 그리고 인간의 사회와 경험하는 세계를 기독교윤리학의 근거로 의미를 갖는다. 성서는 기독교윤리의 최고 권위이자 규범이 되며, 교회는 기독교 공동체로서 윤리 실천의 장이 된다. 또한 인간의 실존적 삶의 세계도 윤리학의 대상이 된다. 둘째, 기독교윤리학은 선악의 구분과 옳고...2024.10.16
-
성경비평학2024.11.131. 본문 비평 1.1. 정의 본문 비평이란 "본문에 원래 사용된 용어나 형태를 찾아보는 연구"이자 "모두가 불가피하게 오류를 지니고 있는 사본들을 가능한 많이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문학 작품인 원본을 회복시키려는 학문적인 시도"이다""본문 비평은 성서가 오랫동안 복잡한 본문 구성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는 사실과 현재 남아있는 성서의 원본이 없다는 점에서 필요성이 인식된다"" 성서의 필사본과 번역본들 사이에는 다양한 차이점이 있는데, 이는 필사자들의 비의도적이거나 의도적인 변조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본문 비평을 통해 히브...2024.11.13
-
조직신학입문2024.09.081. 조직 신학 입문 1.1. 들어가는 말 제가 읽은 책은 "조직 신학 입문"이고 이 책의 저자는 이신건 교수님입니다. 이 책은 2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는 이 중 관심이가는 3가지 장에 대해서 전달하고 마지막으로 저의 비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이 책의 '1.1. 들어가는 말'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저자는 이 책의 전체적인 구성과 자신이 관심 있는 부분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1.2. 칭의와 성화와 영화 칭의와 성화와 영화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의 세 단계를 말한다"". 첫째, 칭의(稱義, J...2024.09.08
-
그리스신화, 성서, 동양신화에서 천지창조와 관련된 부분2024.09.091. 천지창조의 개념과 의미 1.1. 천지창조의 사전적 정의 천지창조의 사전적 정의는 "하늘과 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세상, 우주, 세계의 뜻으로 이르는 말"이며,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듦" 또는 "신이 우주를 처음으로 만듦"이라는 뜻을 가진다. 즉, 처음으로 만들어진 하늘과 땅 또는 세상을 의미한다. 1.2. 천지창조 신화의 특징 천지창조 신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천지창조 신화에서는 모든 문명에서 공통적으로 혼돈의 상태에서 시작한다는 점이다. 성서의 창세기에서는 "태초에 하늘과 땅이 혼돈하였다"라고...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