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2024.10.08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2024.10.08
-
윤리와 사상 정리2024.10.031.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인간의 고유한 특성 인간의 고유한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 능력을 통해 더 좋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인간은 정치적 존재이다. 인간은 집단을 이루어 정치 활동을 한다"". 인간은 경제적 존재이다. 인간은 경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 인간은 유희적 존재이다. 인간은 삶 속에서 다양한 재미와 가치를 추구한다"". 인간은 문화적 존재이...2024.10.03
-
성무선악설2024.11.251.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을 논한 인성론(人性論)이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두 가지 본성이 있는데, 하나는 동물들과 공유하는 자연적 본성이고 다른 하나는 오직 인간만이 갖는 도덕적 본성이다. 맹자는 이 도덕적 본성에 주목하여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맹자는 인간이 천성적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지성(四端之性)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인간에게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선한 마음...2024.11.25
-
선악2024.11.261.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 1.1. 기독교적 의미의 선악 기독교적 의미의 선악은 성경에 나타난 선악의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는 선악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선은 하나님과 그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며, 악은 육체의 욕망과 죄에 빠져 타락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원론적 관점에서 성경은 선한 것은 신앙심과 도덕성에 부합하는 행동이며, 악한 것은 인간의 본능적 욕망에 충실한 행동이라고 규정한다. 특히 기독교에서는 인간이 원죄로 인해 타락했다고 보기에, 선한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