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성만찬2024.09.121. 성만찬 신학 1.1. 마틴 루터의 성만찬 신학 1.1.1. 초대교회 기독론의 배경 초대교회 기독론의 배경은 주로 아리우스 논쟁, 아폴리나리스 논쟁, 네스토리우스와 시릴의 논쟁, 유티케스 논쟁과 칼케돈회의 등의 기독론 논쟁을 통해 형성되었다. 먼저 아리우스 논쟁은 삼위일체 논쟁의 시작이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장로 아리우스는 예수 그리스도를 성부와 구별되는 피조물이라고 주장했으나, 알렉산드리아 감독 알렉산더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였다. 니케아 회의에서는 알렉산더의 입장이 받아들여졌고, 그리스도의 신성이 확립되었다. 루터는...2024.09.12
-
동방정교회의 역사와 신학2024.09.151. 동방정교회 개관 1.1. 정의와 용어 동방정교회는 사도 시대부터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인도, 그리스 동유럽과 러시아 방면으로 발전하여 분포되고 오리엔트의 헬라문화권 안에서 성장한 그리스도교회의 총칭이다. 동방 정교회의 전례서나 미사경본에 나와 있는 그들의 공식 명칭은 정통 카톨릭 교회이다. 하지만 이 동방 정교회가 콘스탄티누스 로마제국의 황제가 330년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옮긴 이후 동 로마제국 및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과 맺고 있는 역사적 관계로 해서 영어로는 관례상 이 교회를 가리켜 동방 교회(...2024.09.15
-
묻고 답하는 예배학2024.10.211. 서론 1.1. 예배의 중요성 예배의 중요성은 교회와 그 교회를 이루는 성도의 존재 목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기독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을 믿고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이며, 이들이 예배를 드리는 것이 교회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예배는 구원받은 성도들이 창조주이자 구세주이신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과 찬양을 돌리는 것으로, 이는 그리스도인의 가장 중요한 존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교회에 참석하는 많은 성도들이 예배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배를 단순히 의무적으로 드리는 행...2024.10.21
-
묻고 답하는 예배학 독후감 조기연 교수2024.10.311. 서론 저자는 본서의 서론에서 "한국교회의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이 이 책을 통해 예배에 대한 이해를 한층 증진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본서가 신학적 소양이 없는 평신도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하며, 교회 공동체가 함께 예배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 저자의 주된 의도라고 말한다. 저자는 예배가 그리스도인의 존재 목적이라고 보며, 성경적 지식을 토대로 한 바른 예배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서는 저자가 10년 이상 예배학을 강의하면서 받았던 57가지의 질문과 그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2024.10.31